[누리호 성공] 긴장의 70분 후 환호 터진 나로우주센터
김인철 기자=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2차 발사돼 힘차게 날아가고 있다. 문다영 기자=21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된 후 약 70분간, 발사 현장인 나로우주센터에서는 긴장된 침묵과 큰 박수가 번갈아 이어졌다.그러나 위성 교신 점검과 공식 확인이 이뤄질 때까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들은 조마조마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이들은 12년 3개월간 이어온 누리호 개발 사업을 진행하는 동안 수없는 시행착오를 거치며 누리호와 희비를 함께해왔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본부장은"발사체가 어제 조립동을 출발하는 순간부터 모든 분이 조마조마해했다"며"최종적으로 분리되고 끝날 때까지 잘되길 바라며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고 본부장은"2015년과 2016년에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며" 연소 불안정을 해결하느라 각고의 노력을 한 다음에는 추진제 탱크 제작 공정 확립이 안되기도 했다"고 회고했다. 이어"기술적 문제들이 언제 해결돼 우리가 발사체를 언제 만들지 모르는 깜깜한 시절이 있었다"며" 연소 시험을 작년에 하며 과연 우리가 원하는 시험을 잘 버티고 마무리 될 것인가"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참으로 기쁜 날이다"며"우리 선배 노력의 댓가를 이제 저희가 성과로 받게 됐다"고 했다.앞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발사 성공을 알리는 브리핑에서"오늘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의 기념비적인 순간에 섰다"고 선언했다.
"오늘 오후 4시 발사된 누리호는 목표궤도에 투입돼 성능검증위성 성공적으로 분리하고 궤도에 안착시켰다"며"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성공을 발표한다"고 말하는 순간 이 장관의 얼굴은 감격으로 빛났다. 김준범 기자=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된 21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종합관제실에서 연구원들이 환호하고 있다. 2022.6.21 [email protected] 그는"1993년 6월 최초의 과학로켓이 발사된지 30년 만이다"라며"우리 땅에서 우리 손으로 우리가 만든 발사체를 쏘아올린 7번째 나라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이 언급한 한국 최초의 과학로켓은 관측로켓 KSR-I이다.'항공우주청' 설립 추진에 대해서는"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항공우주청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며"어디에 둘 것인지는 이야기하지 어렵지만 정부조직 개편을 논의할 때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누리호, 다시 발사대로‥이 시각 나로우주센터누리호가 우여곡절 끝에 내일 발사됩니다. 산화제 탱크의 센서에서 이상이 감지돼 발사가 연기된지 5일 만입니다.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취재 기자 나가있습니다. 차현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누리호’ 목표 궤도 700㎞ 갔다…위성 분리 성공누리호는 이날 오후 2시27분께부터 순차적으로 연료 탱크와 산화제 탱크 충전, 발사체 기립 장치 철수를 완료하고 오후 3시50분부터 10분 동안 가동에 들어간 뒤 오후 4시에 발사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날아라 누리호 '큰 변수 없는 한 성공 기대'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두 번째 도전에 나선다. 누리호가 2차 발사에 성공하면 한국은 우주공간으로 1톤급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일곱 번째 국가가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누리호 성공] 차세대 발사체 탄력…2031년 달착륙 목표 | 연합뉴스(나로우주센터[고흥]=연합뉴스) 문다영 기자=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2차 발사에 성공하면서 누리호 고도화 사업과 차세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