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종영의 인간의 그늘에서] 기후변화와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

대한민국 뉴스 뉴스

[남종영의 인간의 그늘에서] 기후변화와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이 나무'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나무가 품고 있는 비밀 은 무엇일까요? 🔽나무의 비밀이 궁금하다면

남극해 캠벨섬에 있는 가문비나무. ‘지구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인 이 나무는 우연히도 지구를 구할 수 있는 오브제가 됐다. 조슬린 턴불 제공 남종영 | 기후변화팀 기자 랜펄리 경은 왜 가문비나무를 남극에 가져갔을까? 정확하지는 않지만 1900년대 초반, 뉴질랜드 총독이었던 그가 작은 묘목을 들고 캠벨섬에 도착했다. 키 작은 풀과 푸석푸석한 이끼가 가득한 툰드라 대지 위에 수목원이라도 만들려고 했을까? 캠벨섬은 남극해에 외롭게 떠 있다. 성난 남극순환해류가 일으키는 소용돌이 바람에 풀도 키를 키우지 못한다. 어쨌든 랜펄리 경은 이 섬에 유일한 나무를 심었고, 이 나무는 ‘랜펄리나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북반구 출신인 가문비나무가 남극에 뿌리를 내린 것이다. 이 가문비나무가 세상에 널리 알려진 것은 기네스북에 등재되면서다. 원래는 사하라사막에 있는 아까시나무가 주인공이었다. 아마 여러분도 사막에 앙상하게 제 모습을 드러낸 사진을 한번쯤 본 적이 있으리라.

남극의 바람과 추위가 가만히 놔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조슬린 턴불 제공 아델리펭귄이 캠벨섬을 걷고 있다. 조슬린 턴불 제공 그런데 문제는 수십년 전 근과거는 알 수 없다는 거였다. 인류가 지구에 난도질을 가한 지난 세기 이산화탄소량이 어떻게 변했고, 궁극적으로 남극해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어떻게 변했을까? 그걸 채취할 만한 깨끗한 시료가 없다는 생각이 들 즈음. 그에게 떠오른 것이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나무’였다. “나무의 나이테를 이용하면, 광합성을 하던 당시의 대기 환경을 알 수 있어요.” 알다시피 나이테는 일년에 하나씩 생긴다. 2016년 그는 지름 5㎜ 되는 작은 드릴로 나무에 구멍을 뚫어 샘플을 채취했다. 논문은 곧 발표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 나무는 몇년 전 유명해졌다. 인류세를 연구하는 일군의 과학자들이 이 나무를 새로운 지질시대의 대표 화석으로 제안하는 논문을 낸 것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통령 표찰·여왕 'Z' 오타…추석뒤 윤 대통령 모든것 때린 야당대통령 표찰·여왕 'Z' 오타…추석뒤 윤 대통령 모든것 때린 야당'사법 리스크'가 현실화된 이재명 대표만 제외하고 지도부 전체가 공격수로 달려들었습니다.\r민주당 윤석열 대통령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람의 말이 숨쉬는 광장을 꿈꾸며사람의 말이 숨쉬는 광장을 꿈꾸며사람의 말이 숨쉬는 광장을 꿈꾸며 길동무_문학학교 김대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지원 '이재명·김건희 문제 쌍특검 하고 영수회담서 경제 논의해야'박지원 '이재명·김건희 문제 쌍특검 하고 영수회담서 경제 논의해야'〈사진=국회사진기자단〉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오늘(14일) '가장 공정한 것이 특검이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이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말보다 ‘빠른’ 당나귀…7천년 전부터 인간의 짐 날랐다말보다 ‘빠른’ 당나귀…7천년 전부터 인간의 짐 날랐다당나귀 고대 사회의 발전과 함께 했던 당나귀. 현재 남아 있는 당나귀는 저개발국 빈민들의 사역 또는 운송용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인산 숲놀이터’ 폭우로 쓰러진 나무 재활용해 개장‘연인산 숲놀이터’ 폭우로 쓰러진 나무 재활용해 개장폭우 등 자연재해로 쓰러진 나무 등을 재활용한 연인산숲놀이터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살려 개장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2 15:5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