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총리는 당초 3월로 예정했던 미국 국빈방문이 4월로 미뤄지면서 방한을 모색했다. 지난해 3월 '제3자 변제안'이란 결단을 해준 윤 대통령에 대한 마음의 빚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선거결과에 더 예민해야 할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전향적이다. - 시시각각,장제원,책임 추궁,책임 회피,윤석열 대통령,김현기의 시시각각
#1 다음 달 20일 전후로 추진 중인 한·일 정상회담이 아직 유동적이다. 회담 추진의 시작은 이랬다. 기시다 총리는 당초 3월로 예정했던 미국 국빈방문이 4월로 미뤄지면서 방한을 모색했다. 지난해 3월 '제3자 변제안'이란 결단을 해준 윤 대통령에 대한 마음의 빚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양국이 선보일 미래지향적 메시지도 측근에게 준비토록 했다. 우연히 서울 고척돔 경기장에서 같은 시기 오타니가 있는 LA 다저스와 김하성이 있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미국 메이저리그 개막전이 있다. 그래서 가능하면 한·일 정상이 함께 관람하는 이벤트도 추진하려 했다. 물론 야구는 곁가지일 뿐 핵심은 회담이었다.그러나 이를 막고 나선 건 양국의 외교 당국. 관료들의 좋게 말하면 신중함, 나쁘게 말하면 책임 회피 때문이다. 한국 외교부는"4월 10일 총선 전에 일본 총리가 오면 선거에 마이너스 아니냐"며 주저한다.
돌이켜보면 지난해 3월 강제징용 해결안이 나온 뒤에도 그랬다. 주일대사관은 일본 내 재일교포 기업인과 단체들의 성의를 기부로 연결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하지만 외교부는 오히려 제동을 걸었다. 섣불리 기부를 받거나 권유할 경우 두고두고 '최순실 사태' 때와 같은 책임 추궁이 올 수 있으니 너무 열심히 일하지 말라는 얘기였다. 한심한 일이다.#2 하지만 요즘 정치권의 총선 공천 과정을 보고 있노라면 공무원들은 조족지혈, 새 발의 피다. 먼저 더불어민주당. 이른바 '친명'은 문재인 대통령 세력, 즉 '친문'에 지난 대선 패배의 책임이 있다며 공천 학살에 나섰다. 다가오는 당권 경쟁, 대선후보 경쟁에서 아예 경쟁자의 싹을 잘라놓으려는 의도가 너무나 속 보인다. 그러면서 정작 대선에서 패배한 이재명 대표 본인은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는다. 불출마선언 같은 희생도 않는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박형준 부산시장, 한덕수 국무총리,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장성민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등 참석한 대표단이 지난해 11월 28일 오후 국제박람회기구 제173차 총회가 열리고 있는 프랑스 파리 남부 외곽의 ‘르 팔레 데 콩크레 디시'’에서 2030 세계 엑스포 개최지 선정 투표 결과 부산이 탈락했다는 소식을 듣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이라고 다를 게 없다. 장성민 전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의"국힘 의석수는 150석에서 160석, 민주당은 110석 정도에 불과할 것"이란 발언을 듣고 뜨악했다. 예측이야 자유다. 하지만 적어도 그는 그런 말 할 자격이 없는 것 아닌가. 대통령실 엑스포 유치 총괄 책임자로 투표 직전 인터뷰에 나와"당일 초박빙의 승부가 펼쳐질 것"이라고 했던 장본인이다. '119대 29' 참패의 책임을 져야 할 인물에게 책임 추궁은커녕 단수공천을 주니 그런 믿거나 말거나 발언을 또 반복한다. 하기야 당시 한덕수 총리 이하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고, 윤 대통령 이하 아무도 책임지라 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우리 사회에 '책임지면 손해 본다'는 풍토가 자리 잡고 만 건 아닐까.그런 점에서 최근 몇달 사이 가장 깔끔하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인 건 장제원 의원이 거의 유일하지 않을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 대통령-기시다 총리, 스탠퍼드 공동강연 조율중···“한일관계 개선 부각”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오는 17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함께 강연하는 방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현기의 시시각각] 보수의 품격1970년대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의 '일본 열도 개조론', 2010년대 아베 신조 총리의 '지방 창생'에 이르기까지 국가 균형발전 정책에는 논리와 단계, 일관성이 있었다. 윤석열 정부를 지지한 많은 중도 보수 유권자 또한 같은 생각이었을 게다. 하지만 대다수의, 그리고 현 정부의 진짜 명운을 쥔 중도 보수는 원칙과 상식을 갈구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숫자’ 빠진 연금 개혁안 발표...“보험료 인상 불가피” 예고만연금행동 “‘맹탕’ 연금개혁안...윤석열 정부, 구체적 수치 제시 않고 책임 회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한국보다 늦었다' 분노한 일본 내부 저격까지 ...이번 달 각 언론사 여론조사 결과 기시다 총리에 대한 지지율은 평균 30%대로,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기시다 총리는 '감세' 카드를 꺼내며 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현기의 시시각각] 자민당과 국민의힘 닮은꼴, 차이점사흘째부터는 괜찮다고 하니 국회의원직은 할 수 있다'. 당을 혁신시킬 기개도, 능력도, 책임감도 없는 사람이 집권당 당 대표를 맡고, 정작 그걸 할 혁신위원장은 외부에서 불러와 따로 맡기는 정당이 어떻게 정상이라 할 수 있겠는가. 3 일본 자민당과 국민의힘이 이처럼 '국민과 따로 놀기' '마이웨이 고집'에선 닮은꼴 같지만 국민의힘이 자민당 따라가다간 큰코다치는 이유가 몇 가지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현기의 시시각각] 한·일 관계 롱런하려면기시다는 아베파 신임 회장 자리를 넘보는 하기우다 등 5인방을 모리 전 총리를 통해 제압했다. 파벌에서 총리 후보를 찾는 것보다 자신의 파벌 총수 유지가 우선인 아소에겐 자민당 부총재 유임과 핵심 각료 네 자리를 선물했다. 2 윤석열 정부 한·일 관계는 크게 1단계(2022년 취임~2024년), 2단계(2025년~임기말)로 구분될 것이다. - 통일교 변수,자민당 선거,기시다,트럼프,한일 관계,윤석열,중동,북한,아베파,모리 전 총리,아소파,김현기의 시시각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