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렬의 공간과 공감] 마야 도시 문명의 고전, 팔렝케

대한민국 뉴스 뉴스

[김봉렬의 공간과 공감] 마야 도시 문명의 고전, 팔렝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3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7%
  • Publisher: 53%

18세기 스페인 침략자들이 재발견한 후, 지금까지 발굴한 유적은 신전을 비롯해 수백 점이지만, 이는 전체 추정 유적의 10%에 불과하다. 여러 단의 계단식 석축을 쌓아 인공산을 만들고, 그 정상에 신전 등을 건설했다. 공작의 신전, 십자가 신전, 자칼의 신전 등 명칭이 붙은 다른 신전도 역대 왕들의 무덤 겸 신전으로 여겨진다.

마야는 17세기까지 메소 아메리카 지역에 산재했던 수백 개 도시 국가를 통칭한다. 3800여 년의 긴 역사 중 서기 250년부터 950년까지를 마야 문명의 황금기라 꼽는다. 팔렝케는 그 대표적인 유적이다. 도시 왕국 팔렝케는 368년 동안 19명의 왕이 통치한 후, 9세기 들어 급격히 쇠퇴해 밀림 속에 파묻혔다. 18세기 스페인 침략자들이 재발견한 후, 지금까지 발굴한 유적은 신전을 비롯해 수백 점이지만, 이는 전체 추정 유적의 10%에 불과하다.

도시는 왕궁 등 귀족 영역과 공공시설 같은 일반 시민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두 영역은 작은 강줄기로 구획되는데, 중심 부분에 지하 인공 배수로를 만들어 중앙광장을 조성했다. 마야의 도시 국가들은 신정일치 체제로 대부분 평지에 들어섰다. 여러 단의 계단식 석축을 쌓아 인공산을 만들고, 그 정상에 신전 등을 건설했다. 팔렝케 역시 피라미드형 기단 위에 궁전과 신전을 세웠는데 석축이 높지 않아 상부 건물과의 적절한 비례가 아름답다.팔렝케 궁전은 4개의 중정을 중심으로 구성된 복합시설이다. 통치공간은 물론이고 오락시설, 제의시설 등 여러 공간이 지붕까지 고스란히 남아있다. 궁전 중앙부에는 ‘전망탑’이라는 4층 누각까지 솟아있다. 모두 석조이며 표면을 회반죽으로 마감하고 상형문자 등을 조각해 장식했다. 상수도를 공급해 사우나 욕장도 이용했고 지하터널을 축조해 비밀 통로로 사용했다. ‘비문 있는 신전’은 왕국의 전성기를 이루었던 파칼대왕의 무덤으로 판명되었다.

공작의 신전, 십자가 신전, 자칼의 신전 등 명칭이 붙은 다른 신전도 역대 왕들의 무덤 겸 신전으로 여겨진다. 후기 마야의 유적은 석축부가 지나치게 거대해져 피라미드만 강조되고, 인신공양 등 폭력적 내용의 장식으로 가득해진다. 반면 1200년 전의 팔렝케는 사실주의적 장식과 고전주의적 조화로 충만해 인간적 도시와 건축의 냄새가 물씬하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순간 무너진 건물에 비명…'제3의도시' 마라케시 비극한순간 무너진 건물에 비명…'제3의도시' 마라케시 비극지진 피해를 입은 모로코 제 3의 도시, 마라케시는 모로코의 대표적인 '역사 도시'로도 알려져 있는 곳입니다. 산간 지역인데다 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상을 노래하는 차세대 K팝...Z세대 '공감' 저격한다일상을 노래하는 차세대 K팝...Z세대 '공감' 저격한다[앵커]최근 출격한 차세대 K팝 그룹 노래의 공통적인 특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도도 아니면서 유럽에서 가장 큰 도시수도도 아니면서 유럽에서 가장 큰 도시[독일] 북쪽 함부르크로, 다시 바다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진에 무너진 모로코의 ‘천년 고도’…'붉은 도시' 마라케시는강진에 무너진 모로코의 ‘천년 고도’…'붉은 도시' 마라케시는이번 지진으로 역사 유적들이 간직된 모로코의 옛 수도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있는 중세의 고도(古都) 마라케시가 주요 도시 중 가장 큰 피해를 보았다고 9일(현지시간) 로이터, AP통신이 전했다. 외신에 따르면 전날 늦은 밤 마라케시 남서쪽 71㎞ 떨어진 산악지대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으로 마라케시의 중세 성벽에는 큰 균열이 일어났고 건물들이 무너졌다. 현지 언론에선 지진에 취약한 붉은 진흙 벽돌집이 많아 ‘붉은 도시’로 불리는 마라케시 지역의 특징이 지진 피해를 키웠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작 배우' 라미란 '출산으로 2년 공백 경험…'잔혹한 인턴' 공감''다작 배우' 라미란 '출산으로 2년 공백 경험…'잔혹한 인턴' 공감'드라마에서 40대 경력단절 여성 고해라를 연기한 그는 '출산 당시 2년 정도 공백이 있었다'면서 '죽을 때까지 할 일이라 여겼던 연기를 더는 할 수 없다는 생각에 불안감에 시달리던 시기였다'고 했다. 라미란은 '(출산 후) 아이의 돌이 다가올 무렵 영화 ‘친절한 금자씨’(2005) 오디션을 보고 다시 연기를 시작하게 됐다'며 '(첫 영화였기 때문에) 촬영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어 불안하기도 했지만, 연기를 계속할 수 있다는 것 자체로 날아갈 것만 같았다'고 회상했다. 이에 대해 라미란은 '캐릭터 자체가 변했다기보다는, 환경이 바뀌면서 삶과 인생의 중요한 가치가 달라진 것'이라면서 '최지원 역시 과거엔 임신 포기 각서에 대해 부정적이던 인물인데 사회의 불합리 속에서 현재의 냉정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표절 아냐?'…시청률 대박난 '연인', 이 영화 대사까지 판박이였다'표절 아냐?'…시청률 대박난 '연인', 이 영화 대사까지 판박이였다애초 황진영 작가는 '비극적 상황에 내동댕이쳐진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써보고 싶었다'면서 '병자호란 같은 경우 독한 패배의 역사이기에 쉽게 손대지 못했는데 고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영감을 받아 고난의 역사를 조금은 경쾌하게 시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드라마 ‘연인’에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와 캐릭터 설정, 이야기 전개, 심지어는 대사까지 판박이인 대목이 등장한다.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1936년 출간됐고 원작자 마거릿 미첼은 1949년 사망해 현재 저작권이 만료된 상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1 02:5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