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권의 묵묵]노동자일 권리

고병권 뉴스

[고병권의 묵묵]노동자일 권리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2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1%

노동절을 앞둔 4월30일, 10여명의 중증발달장애인 해고노동자들이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손팻말에는 “우리 일자리 지켜준다고 약속했잖아요”라고 쓰여 있었다. 나는...

노동절을 앞둔 4월30일, 10여명의 중증발달장애인 해고노동자들이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손팻말에는 “우리 일자리 지켜준다고 약속했잖아요”라고 쓰여 있었다. 나는 이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다는 충동과 내 글로는 이들의 목소리를 담을 수 없다는 무력감을 동시에 느꼈다. 글이란 게 목소리를 담아두는 불멸의 그릇처럼 느껴지다가도 물 한 바가지도 담을 수 없는 깨진 옹기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이 경우가 그렇다. 내 글로는 이날의 목소리를 담을 수가 없다. 몇번이나 고쳐 써보았지만 내가 쓴 문장들은 내가 들은 말들처럼 보이지 않았다.

이들은 ‘피플퍼스트 성북센터’ 등 3곳의 발달장애인 자립생활센터에서 일해온 노동자다. 그런데 서울시 관계자가 했다는 말에 따르면 이들은 해고노동자가 아니라 ‘중증장애인 동료상담’ 사업 공모에 떨어진 사업자일 뿐이다. 공모 사업에 선정되지 않았다고 화를 내고 있단 것이다. 맥락을 살피지 않고 발표 자료만 보면 이들이 왜 이렇게 화를 내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가. 그런데 올해 예산을 짜면서 고용노동부가 사업 폐지를 결정해버렸다. 졸지에 집단 해고된 동료지원가들, 특히 발달장애인 노동자들이 격렬히 싸웠다. 장애인고용공단에서 농성도 벌였고 국회의원들에게 편지도 썼고 국정감사 자리에서 증언도 했다. 이들의 목소리가 여야 의원들을 움직였고 정부로 하여금 사업을 되살리게 했다. 다만 운영기관이 노동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일자리 이름이 ‘동료지원가’에서 ‘동료상담가’로 바뀌었을 뿐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고병권의 묵묵]나는 세월호를 몰랐다[고병권의 묵묵]나는 세월호를 몰랐다.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그간의 일들을 기록한 책이다. 책을 펼치고 몇쪽 읽지 않았는데도 수문이 열리듯 눈물이 왈칵 쏟아진다. 나 몰래 내 안에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TEST 문제풀이] 공사할 권리 vs 쾌적할 권리 … 우선순위는?[매경TEST 문제풀이] 공사할 권리 vs 쾌적할 권리 … 우선순위는?아래 상황을 코즈의 정리를 바탕으로 옳게 분석한 것은? (단, 사적 협상에 드는 거래비용은 없다.) 건축주 K는 한적한 주택가 인근에 신축빌라 건물을 짓고 있다. 신축빌라 완공 시 K가 얻는 순이익은 7억원이지만 공사 소음과 분진으로 주민들과 갈등을 겪고 있다. 주민들은 분진과 소음 피해를 호소하고 있지만 관할 구청은 허가받은 공사에 대해 어찌할 도리가 없..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후보들 끼니 걱정? 유권자 선택에 필요한 기사였을까후보들 끼니 걱정? 유권자 선택에 필요한 기사였을까[2024 총선보도 모니터링] 지역언론, 알 권리 위한 보도 충분히 했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음성 난청 판정 기준이 바뀌었습니다소음성 난청 판정 기준이 바뀌었습니다[알아보자, LAW동건강] 소음성 난청 치료받을 권리 제한하는 가이드라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생인권조례 폐지'에 대한 6학년 아이들의 생각'학생인권조례 폐지'에 대한 6학년 아이들의 생각사회에 하고 싶은 말 적어보라 하자 "차별 받지 않을 권리" "존중해주세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전한 일상, 어떻게 가능할까... 한국사회 재난, 구조적 문제''안전한 일상, 어떻게 가능할까... 한국사회 재난, 구조적 문제''세월호 참사 10주기, 우리사회는 안전한가' 포럼... "피해자 권리 보장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2 22:4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