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날씨에도 개미는 쉬지 않고 일한다. 베짱이는 그런 개미를 비웃으며 나무 그늘에서 노래를...
더운 날씨에도 개미는 쉬지 않고 일한다. 베짱이는 그런 개미를 비웃으며 나무 그늘에서 노래를 부르고 낮잠을 잔다. 겨울이 되자 개미는 쌓아둔 식량 덕에 풍족하게 살지만 베짱이는 쫄쫄 굶는다. 이솝 우화 ‘개미와 베짱이’에는 미래를 위해 열심히 일하고 저축한 사람은 잘살고, 당장의 즐거움을 추구하고 게으르며 소비에 열을 올린 사람은 가난하게 산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하지만 현실은 개미처럼 사는 사람이 가난한 경우가 많다. 땡볕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농민들, 누구보다 먼저 일어나 새벽 버스에 몸을 싣는 사람들, 모두들 열심히 일하지만 가난을 벗어나기 어렵다. 가난하기 때문에 더 일을 많이 해야 하는 처지인지도 모른다. 반면 베짱이는 놀아도 계속 잘살기만 한다. 남들이 일하는 평일에 골프를 쳐도 통장에는 매달 이자가 쌓이고 임대료와 주식 배당금이 들어온다.
부를 축적하는 방법은 두 개의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노동을 통한 저축과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상속이다. 일제 수탈과 6·25전쟁을 겪으면서 1950년대까지 한국은 대부분의 사람이 가난했다. 산업화를 거치면서 경제가 눈부시게 성장하던 시절에는 열심히 일하고 저축해 자수성가하는 사람들이 쏟아져 나왔다. 지금은 경제성장률이 1%대로 하락했다. 선대에서 물려받은 부동산이나 주식 등의 자산이 저축으로 만들어진 자산보다 더욱 빠르게 성장하는 시대가 됐다. 10년치 월급을 모아도 수도권에 아파트 한 채 마련하기 어렵다. 아파트 가격이 그사이 더 많이 오르기 때문이다. 의 저자 토마 피케티는 “자본 수익률이 현저하고 지속적으로 경제성장률보다 높은 경우, 거의 필연적으로 과거에 축적된 자산의 상속이 현재 축적되는 자산인 저축을 압도한다”고 했다.
자본주의의 전제는 사유재산 인정이다. 합법적인 부의 축적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다. 부모가 피땀 흘려 일군 논밭을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은 것은 당연하고, 권장할 만한 일이다. 그런데 소득이 있는 곳에는 세금이 있다. 부모가 재산 50억원을 자녀 2명에게 남겼을 때 상속세를 매기는 방법은 두 가지다. 50억원에 세금을 매기고 이를 자녀가 절반씩 나눠 내게 하는 것, 다른 하나는 두 자녀가 각각 물려받은 25억원에 세금을 물리는 것이다. 앞의 방식이 유산세, 뒤의 방식이 유산취득세다. 한국은 유산세 방식이다. 누진세율이 적용되고 과세표준이 30억원을 넘으면 최고세율 50%가 적용된다.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은 유산세를 유산취득세로 바꾸고 세율을 낮춰 상속세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다. 그러나 유산취득세로 바꾸면 세수가 당장 수조원 줄어든다. ‘부자 감세’ 논란이 일고 재정 악화가 불을 보듯 뻔하다.
비과세 유산 1억5000만원은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돈이다. 신혼부부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책이라는 찬성 의견과 경제력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박탈감만 주는 정책이라는 반대 의견이 있다. 하지만 상속은 부모의 재산이 대를 이어 자녀에게 전달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한 사회의 상속제도는 권력과 부를 분배하는 일종의 시스템이다. 사회의 정치·경제가 변하면 상속제도가 달라지고, 상속제도가 변하면 그 사회의 정치·경제가 달라진다. 근대와 전근대를 구분하는 기준이 부와 지위의 대물림 여부다. 를 쓴 역사가 백승종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서구 유럽에서 상속의 초점은 상속에서 배제되는 사람이 구제될 전망이 있는가에 맞춰졌다고 한다. 상속에서 배제된 사람들을 사회가 어떤 식으로든 흡수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들도 유능한 인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부의 분배는 언제나 정치적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코뮤니스트 오세철, “윤석열 ‘공산 전체주의’ 발언은 무지”····“나를 잡아가라”“북한과 친북적 경향의 남한 부르주아 정치 운동을 겨냥해 공산주의란 말을 가져다 붙인 거뿐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조원짜리 폭탄 돌리기 될까…개미 ‘빚투’ 연중 최고치개인 투자자들이 증권사 등으로부터 주식 매입을 위해 빌린 자금인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20조원을 넘어섰다. 지수가 뒷걸음질 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신용거래 잔고가 좀처럼 줄고 있기 않은 건 최근 국내 증시를 휩쓴 이차전지 열풍 탓이다. 개미들이 이차전지 등 테마주에 달려들면서 ‘빚투’ 또한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증권가에 따르면 지난 18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글로벌포커스] 중동을 논리적으로 읽는 눈중동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문화·역사 알 필요는 없어과학적 질문이 더 나을 수 있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눈 뜨고 놓친' 대전 신협 강도…신원 파악하는 사이 해외도주이렇게 강력 사건은 잇따르는데, 경찰이 이를 제대로 막아낼 능력이 있는지 의문이 드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대전에서 은행 턴 강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눈 마주쳐서' 편의점 앞 사람들에 야구방망이 휘두른 男지난 20일 채널A에 따르면 7일 오전 5시 40분쯤 서울 중랑구에서 술에 취해 대리 기사가 몰던 차를 타고 있던 남성 A씨는 차에서 내려 모르는 남녀에게 야구 방망이를 휘둘렀다. 차에서 내린 A씨는 편의점 앞 진열대를 쓰러뜨려 정리하던 남녀 무리에게 다가가 말을 걸더니, 몇 초 후 자신의 차로 돌아가 트렁크에서 70㎝ 길이의 야구방망이를 꺼내 들었다. 이 남성은 다시 남녀 무리에게 돌아가 방망이를 휘두르며 위협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