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들이 증권사 등으로부터 주식 매입을 위해 빌린 자금인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20조원을 넘어섰다. 지수가 뒷걸음질 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신용거래 잔고가 좀처럼 줄고 있기 않은 건 최근 국내 증시를 휩쓴 이차전지 열풍 탓이다. 개미들이 이차전지 등 테마주에 달려들면서 ‘빚투’ 또한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증권가에 따르면 지난 18일
개인 투자자들이 증권사 등으로부터 주식 매입을 위해 빌린 자금인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20조원을 넘어섰다. 지수가 뒷걸음질 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신용거래 잔고가 좀처럼 줄고 있기 않은 건 최근 국내 증시를 휩쓴 이차전지 열풍 탓이다. 개미들이 이차전지 등 테마주에 달려들면서 ‘빚투’ 또한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이달 들어 20조원을 넘어선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무서운 속도로 치솟으면서 지난 17일 20조5572억을 기록하기도 했다. ▲8일 20조4322억원 ▲14일 20조4388억원 ▲16일 20조5040억원 등 이달에만 연중 최고치를 네 번이나 갈아 치웠다.이날 코스피는 2515.74에 마감하면서 이달 초 2644.34에서 2500선으로 내려 앉았지만 되려 ‘빚투’ 열기는 더 뜨거워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 이차전지 관련주가 주춤하고 있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이를 저가매수 기회로 삼아 투자 열기가 몰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날 POSCO홀딩스는 56만원에 거래를 마치면서 이달 들어서만 12.77%가 빠졌다. 에코프로비엠도 19.45%나 내렸다. 전일 코스콤 체크 단말기 기준 코스피에서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가장 많은 종목은 POSCO홀딩스이었다. 지난 1일 6155억원에서 18.78%나 증가했다. 지난 1일부터 18일까지 신용융자 잔고가 3.29% 오른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증가 폭이다.코스닥 시장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코스닥 시장에서 신용융자 잔고 상위 1위부터 3위까지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에코프로 등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전일 기준 에코프로비엠의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3106억원으로 연초 1493억원과 비교해 2배가 넘게 늘었다.이 원장은 8일 금감원 임원 회의에서 최근 테마주 관련 주식시장의 급등락과 관련해 “단기간에 과도한 투자자 쏠림, 레버리지 증가, ‘단타’ 위주 매매 등 과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앨 고어 전 부통령이 집중 사들인 반도체株는 무엇?증착 공정 세계 1위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연중 주가 47% 올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 부동산 위기에 금융시장 출렁…국내 영향 얼마나?중국 부동산 위기, 미국 국채 금리 급등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연중 최고점을 넘보는 등 실물 경기에 앞서 국내 금융시장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반된 美·中 경기’ 국채 금리 연중 최고 육박4%대 美 국채 금리에 국내 금리도 동반 상승 달러당 원화값 장중 1341원까지 하락 원화 하락시 한은 금리 인상 나설 수 있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7월부터 '에코형제' 2조원 던진 개미, '포스트 2차전지'로 이것 노렸다지난달부터 2차전지주의 대표주자인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을 2조원가량 팔아치운 개인투자자가 이달 들어 삼성전자를 담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2차전지주 쏠림현상으로 그동안 다른 종목의 주가가 눌려 전체적으로 시장이 부진했다'며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가가 부진했지만, 실적이나 수급이 견조한 반도체·자동차·기계 등에서 반등을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학균 센터장은 '국내에서 중국의 수요를 겨냥한 소비주는 중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우려와 별개로 움직이는 시장인 데다 그동안 주가가 많이 억눌려 있어 반등세가 지속할 수 있지만, 2014~15년 당시보다 중국 국내 업체의 산업 경쟁력이 높아진 만큼 한국 소비주가 주도주로 부각되기에 한계가 있다'가 지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돈 없는데 도와주겠지”…20대 ‘빚투 탕감’ 규모 14배 폭증영끌(영혼까지 끌어 대출)·빚투(빚내서 투자)로 주식·가상자산에 투자해 실패한 MZ세대(20~30세대)의 채무조정 규모가 5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유동성 확대 이전인 2018년 대비 빚 탕감 신청 20·30대도 8배 이상 급증했다. 15일 오기형 의원실(더불이민주당)이 신용회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채무조정 현황’ 자료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