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화재 현장에서 사망자가 발생해도 3∼4명이고 일상에서 심정지 환자도 한명 정도만 보는데 이런 다수 인명피해 사건은 처음입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이태원119안전센터 대원 10명 1대1 심리상담 진행 지난 29일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핼러윈 인명사고에서 구조된 부상자가 병원으로 후송되고 있다. 연합뉴스 “보통 화재 현장에서 사망자가 발생해도 3∼4명이고 일상에서 심정지 환자도 한명 정도만 보는데 이런 다수 인명피해 사건은 처음입니다.” 이태원 참사 현장에 출동한 중부소방서 신당119센터 소속 권영준 대원은 1일 와 한 통화에서 “최초 무전을 듣고 아무리 큰 사고여도 10∼15명 안쪽이라고 생각했다. 심폐소생술을 하면 20명 가운데 1명이라도 살아남을 수 있을 거란 희망으로 하는 건데, 계속 쏟아져 나오니 대원들이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들어온 지 3∼4개월 된 신입 대원이 가장 걱정이다. 이런 현장을 처음 보기도 하고 같은 또래여서 더 힘들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태원의 소방·안전 현장의 최전선인 용산소방서 이태원119안전센터 직원들도 트라우마를 호소하고 있다.
이태원 참사로 통제된 서울 용산구 사고 현장에서 30일 새벽 소방관과 경찰들이 사상자를 이송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email protected] 현장 통제와 구급활동을 함께한 경찰 공무원들도 마찬가지다. 이날 오전 이태원지구대 소속 경찰관계자는 “직원들이 이야기할 상황이 아니다. 울고 있는 직원들도 있다”고 말했다. 용산경찰서 관계자는 “이런 대형 사태가 터지면 현장 나갔던 경찰관들은 패닉이 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 소방당국 관계자는 직업적 특성상 트라우마를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기에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털어놨다. 이 관계자는 “일반 국민이 고통을 당한 참사인데, 그걸 막아야 할 사람들이 마음이 아프다고 말할 단계가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두 기관 모두 미리 준비된 트라우마 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경찰청 복지지원계 관계자는 “긴급 심리지원 체계를 가동했다. 현장에 출동하신 분들을 취합해서 우선순위를 정해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합동분향소 찾은 정의당 “참사 원인 가감 없이 드러내고 책임 물어야”“수습만큼이나 이번 참사의 원인을 가감 없이 드러내고, 그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 당일 지휘 나간 경찰 간부들, 현장 보고도 위험성 간파 못 했다현장 지휘를 위해 이태원 일대에 나가있던 경찰 간부들조차 위험성을 판단하지 못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Pick] 참사 트라우마 회복법 '깊게 호흡, 자기위로, 도움 구하기'한국임상심리학회가 이태원 참사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뒤에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를 겪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지침을 구체적으로 안내했습니다. 학회는 오늘 발표한 성명서에서 '갑작스러운 사고에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며, 참사 소식을 접한 많은 국민들 역시 충격과 비탄에 빠져 있으리라 생각한다'면서 애도를 표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슬픔에 잠긴 이태원...수사 쟁점은 '안전 조치 충분했나'참사 현장 아직도 경찰 통제…골목 안에는 사고 흔적 여전 / 사흘째 이어진 추모 분위기…이태원역에는 국화꽃 가득 / 이태원 점포 자발적 휴업…상인회 '애도 기간 휴업 유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례없어 매뉴얼도 없다’는 정부와 ‘이태원 인력 늘렸다’ 반복한 경찰이태원 참사 중대본 회의 브리핑…경찰 “그간 다중 운집 대비는 현장 통제 아닌 범죄예방 중심,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던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와 상주 압사사고의 공통점...내리막ㆍ여성ㆍ심정지ㆍ구조 지연〈YONHAP PHOTO-0425〉 사고 현장 살펴보는 경찰 관계자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인명사고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