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전쟁터에 끌려가 영영 가족을 못 보는 것보다 잠시 이별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습니다. 러시아 푸틴 🔽 자세히 읽어보기
러시아 부분 동원령 발표 이후인 지난 9월27일 러시아-조지아 국경의 베르흐니 라르스 국경검문소에 국경을 넘으려는 러시아 청년들이 몰려들고 있다. 베르흐니 라르스/타스 연합뉴스 전쟁은 모두를 파멸로 이끈다. 피해국 국민은 물론, 가해국 국민의 희생도 강요한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국민도 예외는 아니다. 전쟁에 동원돼 희생되거나 참혹한 명령을 따르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전쟁을 피하고자 삶터를 떠나 사선을 넘는 이들도 있다. 전쟁의 참상을 전하기 위해 지난 3월과 6월, 두차례 우크라이나 현지를 취재한 는 지난 10월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전쟁을 피해 국경을 넘은 러시아 청년 5명을 만났다. 러시아 변방인 부랴트 공화국에 살았던 이들이다. 그들은 두려움에 떨고 있었고, 고향에 두고 온 가족을 그리워하고 있었으며, 전쟁에 분노하고 있었다. 인터뷰한 청년들의 신원 노출이 우려돼 가명으로 처리했다. 카사노프는 지난 9월21일 아침, 부랴부랴 짐을 챙겼다.
러시아 국적을 가진 이들이 무비자로 몽골에 들어와 체류할 수 있는 기간은 30일이다. 이후 추가로 30일 더 비자 연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간 이후에도 몽골에 머무르려면 거주 비자를 받아야 한다. 현지에서 만난 초이돈 제기마 몽골 대학원 총장은 “러시아를 탈출한 청년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어학 수업을 열면 좋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며 “우리는 어느 나라 사람이든지 인간적으로 도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원령을 피해 온 이들을 입국 거부한 한국도 그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몽골에서 만난 러시아 청년들은 불안에 떨고 있었다. 길어지는 전쟁에 본국으로 돌아갈 수 있을 날을 기약할 수 없고, 징집 대상자들은 러시아 정부에 붙잡히면 10년형에 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징집 대상자가 아니어도 언제든지 전쟁에 동원될 수 있다는 불안이 그들의 마음에 깊이 새겨져 있었다. 청년들은 개인정보가 드러날 수 있는 물음에는 입을 열지 않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기한 단식’ 화물연대 위원장 “파업은 죽고 싶지 않다는 절규였다”여의도 화물연대 농성장에서 단식 투쟁 중인 이봉주 화물연대 위원장을 만났습니다. 화물연대 안전운임제 단식투쟁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의 아픔을 그림으로... 늘그막에 존재 찾지요''이태원의 아픔을 그림으로... 늘그막에 존재 찾지요' 여주양평 이태원참사 아신갤러리 문화예술인 최옥경 최방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당역 피해자 부친, 생전 딸 탄원서 대신 낭독 '죗값에 합당한 엄벌을'피해자의 부친 A씨는 법정에서 '발언할 수 있음에 감사드린다'고 했다가, 눈물을 흘리며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측 고소 취하에도...하이트진로 화물노동자 무더기로 송치한 경찰경찰 “시너 등 인화성물질은 발견되지 않아” 당시 조선일보 ‘단독’ 보도는 ‘오보’였던 것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토트넘 복귀 손흥민…공항 몰린 팬 200명에 40분 즉석 사인회 | 중앙일보팬들의 응원에 '즉석 사인회'로 보답했습니다.\r손흥민 토트넘 축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잇따른 푸틴 핵 위협에도…우크라, 공세 수위 강화푸틴 대통령의 핵 위협 발언 속에도 러시아군 점령지에 대한 우크라이나군의 공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수세에 몰린 러시아 측에서 강력한 신무기 생산을 늘리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