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충전율이 높은 전기차의 선박 선적을 제한하는 권고안을 내놓았지만, 구속력이 없다 보니 일선 현장에서는 혼선만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전 인천 연안여객터미널 선착장 인천발 이작도행 여객선 앞에서 50대 택시기사 A씨와 선박 관계자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졌다. 여객선 관계자는 “배터리 충전율이 90%여서 전기차를 배에 실을 수 없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전 인천 연안여객터미널 선착장 인천발 이작도행 여객선 앞에서 50대 택시기사 A씨와 선박 관계자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졌다.A씨는 자신의 전기차 택시를 배에 싣고 이작도로 가려 했지만, 선박 관계자는 해양수산부의 전기차 선적 제한 권고안을 설명하며 A씨 차량의 선박 진입을 막았다.
A씨는 “지금껏 아무 문제 없이 다녔는데 왜 갑자기 안 된다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며 항의했지만, 방침상 어쩔 수 없다는 답변만 돌아오자 결국 여객선 운임을 환불받고 발길을 돌려야 했다.그러나 강제성이 없다 보니 전기차를 배에 실을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은 여객선사마다 제각각 다르다.이들 5개 항로 여객선 운항을 담당하는 B선사는 전기차 충전율을 일일이 확인한 뒤 해수부 권고대로 충전율 50% 이상 전기차의 선박 진입을 제지하고 있다. B선사 관계자는 “완충된 전기차는 불이 났을 때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며 “특히 전기 화물차는 일정 무게 초과 때 하부에 있는 배터리에 부담을 쉽게 줄 수 있어 선적을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인천∼덕적 항로 C선사는 전기차 충전율을 확인하고 있지만 충전율이 50% 이상이어도 별다른 제재를 가하지는 않고 있다. 대신 전기차를 별도 공간에 선적하고 초기 진화용 장비인 차량용 질식소화 덮개를 구매했다.인천 삼목∼장봉 항로 D선사 관계자는 “1시간마다 배가 운항하다 보니 매번 차량이 줄지어 있어서 해수부 권고안을 따르기 어렵다”며 “혹시 몰라 전기차를 마지막에 선적하고 있지만 차주 불만도 무시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해운업계에서는 현장의 혼선을 최소화하려면 전기차 선적에 대한 정부 차원의 명확한 기준이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업계 관계자는 “만에 하나 선박에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한다면 자체 진화가 사실상 어려워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지금보다는 더욱 현실적이고 세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인천해수청 관계자는 “선사에 정부 지침을 권고하면서도 안전감독관이 현장에서 선적 관리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며 “해수부와 전기차 화재와 관련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현장] 전기차, 배에 실어 말어?…여객선사 '갈팡질팡'(인천=연합뉴스) 황정환 기자='배터리 충전율이 90%여서 전기차를 배에 실을 수 없어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기차만 보면 가슴 섬뜩”…국민불안 커지는데 열흘째 손 놓은 정부정부 콘트롤타워 부재에 허둥지둥 부랴부랴 국무조정실장 총괄체제 13일 방기선실장 주관 차관회의 전기차·관련시설 안전대책 논의 충전율 제한 등 차주반발 우려도 하이브리드 차주들도 불안도 증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충전율 90% 넘는 전기차 충전 막아야”…충남도, 공동주택 충전 제한 추진최근 인천과 금산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자 충남도가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이 90%를 넘어서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서의 충전을 제한하는 대책을 내놨다. 도는 충전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기차 충전율 90% 넘으면 서울 아파트 지하주차장 못 들어간다(서울=연합뉴스) 최윤선 기자=최근 아파트 등에서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는 가운데 서울시가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이 90%를 넘어서면 공동주택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충전율 제한·충전기 개량으로 ‘전기차 포비아’ 잠재울 수 있을까?화재 예방 효과 실효성 의문…설익은 대책으로 혼란 가중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다에서 불나면 어쩌나'…전기차 선적 꺼리는 해운업계(종합)(전국종합=연합뉴스) 최근 인천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촉발된 이른바 '전기차 포비아(공포증)'가 확산하는 가운데 해운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