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식당내 일회용컵 사용 금지 조치 철회 계도기간 1년간 규제 이행 어렵다는 판단에 플라스틱 빨대·편의점 비닐봉지도 단속 않기로 “원가상승 소상공인 부담…짐 또 지우면 안돼”
“원가상승 소상공인 부담…짐 또 지우면 안돼” 정부 방침에 따라 매장에서 종이 빨대를 사용하던 커피전문점 사장 A씨는 최근 부쩍 늘어난 고객 불만에 골머리를 썩고 있다. “종이 빨대를 끼우면 음료 맛이 이상해진다”, “빨대가 흐물거려 제대로 쓸 수 없다”와 같은 원성이 끊이질 않았기 때문이다. A씨는 “플라스틱 빨대보다 종이 빨대가 훨씬 비싸지만 정부가 시키는 대로 종이 빨대를 사용했는데 고객은 쓰기 싫다고 한다”고 토로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18년 친환경 기조를 앞세워 시행했던 일회용품 규제가 사실상 폐기 수순을 밟게 됐다. 식당, 카페, 편의점 등 업주들의 불만은 물론 소비자들의 불편도 컸기 때문이다. 특히 가뜩이나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의 민원이 집중되면서 정부는 민생대책의 일환으로 규제완화에 나서기로 했다. 두 조처는 지난해 11월부터 시행된 일회용품 추가 규제로 1년의 계도기간이 부여됐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1년 계도기간에도 공동체 내 충분한 사회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원가 상승과 고물가, 고금리, 어려운 경제 상황에 고통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규제로 또 하나 짐을 지우는 것은 정부의 도리가 아니다”고 연장 조치의 배경을 밝혔다.
정부의 방침과 달리 일회용 종이컵은 수거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회용품 저감 관련 협약을 자발적으로 맺은 스타벅스·배스킨라빈스·빽다방 등 카페 프랜차이즈 14곳과 맥도날드·롯데리아·버거킹·KFC 등 패스트푸드업체 4곳이 2017~2021년 회수한 일회용컵은 연평균 2억3857만개였다. 하지만 같은 기간 사용량 대비 회수량 비율은 27.5%로, 30%에도 미치지 못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카페·식당 내 종이컵 규제 철회...플라스틱 빨대는 계도기간 연장카페와 식당의 매장 안에서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환경부는 커피전문점과 식당의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 규제 대상에서 종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페·식당 내 종이컵 규제 철회...플라스틱 빨대는 계도기간 연장 [지금이뉴스]카페와 식당의 매장 안에서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환경부는 커피전문점과 식당의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 규제 대상에서 종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식당 종이컵 계속 쓴다…모두가 불만 '과잉규제' 사실상 폐기일회용품 규제 계도기간 연장플라스틱 빨대·비닐봉지 등사용금지 단속 무기한 연기'눅눅하고 음료 맛 이상해져'비싼 종이빨대 소비자도 불만종이컵 금지 우리나라가 유일환경부 '계도기간 1년 불충분고물가 속 소상공인 부담 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묵 안 팔겠다” 불만에 종이컵 금지 없던 일로…플라스틱 빨대도 계속 허용1회용품 금지 계도 기간 종료를 보름가량 앞두고 환경부가 종이컵을 규제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플라스틱 빨대도 계도 기간을 무기한 연장했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7일 브리핑에서 '일회용품 사용규제 품목에서 종이컵을 제외하겠다'며 '종이컵은 사용 금지라는 강제적 규제보다는 권고와 지원을 통해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 일회용품,플라스틱 빨대,종이컵,규제,환경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환경부 종이컵, 빨대, 비닐봉투 규제 사실상 포기···정책 혼선에 시민·소상공인 혼란환경부가 종이컵, 플라스틱빨대, 비닐봉투 등의 주요 1회용품 사용금지 정책을 사실상 포기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종이컵 금지방침 철회, 친환경정책 후퇴 인식은 안돼 [사설]정부가 24일부터 식당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금지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다. 플라스틱 빨대, 비닐봉지 사용 금지계도기간도 사실상 무기한 연장했다. 소상공인 부담을 고려한 조치라고 하지만 일회용품 감축 정책의 후퇴다. 내년 총선을 고려한 선심성 정책이라는 비판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정부는 2018년 매장 내 일회용 컵 사용 금지에 이어 2019년에는 대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