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부담 논란에 1·2위 업체 충돌 쿠팡이츠 “이중가격제, 특정업체 문제” 배민 “사실 왜곡해 책임회피” 반박
배민 “사실 왜곡해 책임회피” 반박 배달 애플리케이션 시장 1·2위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가 배달앱 수수료 논란으로 정면 충돌했다.
최근 일부 업체들을 중심으로 ‘이중가격제’ 도입이 늘어나는 가운데 쿠팡이츠가 “자사는 고객배달비 전액을 부담하고 있으며 배달비와 이중가격제는 특정업체의 문제”라며 배민을 저격하고 나섰기 때문이다.24일 쿠팡이츠는 “쿠팡이츠는 무료배달에 따른 고객부담 배달비를 업주와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않는다”며 입장문을 게재했다.소비자에게 배달비를 받지 않는 대신, 업주들에게 라이더 배달비를 전가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선을 그은 것이다.‘A사’라고 익명 표시했지만 배민의 시그니처인 민트색을 쓰고, 최근 배민이 중개수수료를 인상한 정황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배민을 공개 저격한 셈이다.
쿠팡이츠는 “ 기존 수수료를 동결하고 방문 포장 수수료를 받지 않는 반면, 타사는 요금제 변경, 포장수수료 유료화, 중개 수수료 인상 및 고객배달비 업주 부담 등으로 무료배달 비용을 외식업주와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고 강조했다.배민은 업주가 배달비를 부담하는 가게배달과, 배민이 부담하는 자체배달인 배민배달을 함께 운용하고 있다. 쿠팡이츠가 공개한 표에는 배민의 가게배달만 표기돼있다.무료배달이 아닌 일반 배달일 경우 배민·쿠팡이츠·요기요 등 주요 배달앱은 모두 서울 기준 업주들에게 2900원을 부과하고 있다. 보통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배달비가 건당 6000~1만원 안팎이다. 나머지는 배달앱이 자체 부담한다.
배민 관계자는 “배민이 중개이용료를 인상했다고 하지만, 인상한 결과가 쿠팡이츠와 동일한 9.8%”라며 “배민과 쿠팡이츠 상황이 다르지 않은데 업주들 부담에 자신들만 책임이 없다고 회피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쿠팡이츠의 월간 활성 이용자수는 지난해 8월 438만3390명에서 올해 810만5303명으로 84.9% 급증했다. 같은 시기 724만5612명에서 550만5156명으로 꺾인 요기요를 제치고 2위 자리를 굳혔다.이 가운데 정부는 배달앱 상생협의체를 열고 배달 플랫폼 업체들에게 소상공인과의 상생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오는 국정감사에서도 이 같은 내용이 화두가 될 전망이다. 소상공인들이 배달 비용 부담을 호소하자 책임 공방에 나선 배경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배달 주문하면 1300원 비싸집니다”...이중가격제 확산롯데리아 배달 메뉴 가격 인상 단품 800원·세트 1300원 올라 패스트푸드·커피업계 ‘뉴노멀’ 배달비·중개수수료 부담 원인 “배달비 면제, 업주들에 부담 전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원 이미 공표, 혼란 부르면 안돼' 용산, 의대증원 유예 불가 재확인커지는 당정 갈등尹·韓 만찬 추석 이후로 연기일각선 '의견충돌 때문' 분석韓 '국민건강·안전이 최우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민석 “이재명 집권토대 갖추는 데 최선 다할 것” [野 최고위원 릴레이 인터뷰]‘명심’ 업은 수석최고 김 의원 계엄의혹 놓고 여권향해 토론 제안 채해병 특검법 국민 여론 중시 금투세 놓고 증시 활성화 강조 당원·정책·인재 집권플랜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영세 소상공인 70만명에 연간 최대 30만원 배달비 지원키로정부가 영세 소상공인에게 배달·택배비를 연간 최대 30만원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가 예산을 들여 배달·택배비를 지원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혜 대상자는 약 70만명이다. 기획재정부는 27일 발표한 ‘2025년도 예산안’에서 ‘영세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항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달비 할인 ‘배민클럽’ 오늘부터 유료화…소비자·업주 호응 얻을까배달앱 업계 1위인 배달의민족(배민)이 11일부터 구독제 서비스인 ‘배민클럽’을 유료화한다. 구독자 모델을 바탕으로 업계 2위로 떠오른 쿠팡이츠와의 ‘진검승부’가 시작된 셈이지만, 소비자 이탈과 점주의 반발을 넘어설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배민의 운영사 ‘우아한형제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상공인 배달비 年 30만원…대학생 주거장학금 240만원 준다노인·저소득층 '핀셋 복지'복지 잣대 기준 중위소득6.42% 인상, 지원대상 늘려노인일자리 110만개 공급기초연금은 월 1만원 올려청년 장학금 5조3천억 투입생계급여 年 141만원 증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