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닥 없으면 안 돌아가는 연구실이 부지기수인데, 대우해 주는 곳은 흔치 않습니다.
“화학공학을 전공한 30대 초반 프레시 박사입니다. 타이틀이 박사인데도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됩니다. 국내 연구기관에 포닥을 왔는데, 이 선택이 맞는 건지, 이걸로 취업을 할 수 있을지 불안합니다.” 이공계 온라인 커뮤니티엔 이런 고민이 수두룩하다. 선배들의 댓글 조언은 실질적이다. “박사학위가 인생을 보장해 줄 거란 믿음은 하루빨리 버리는 게 좋습니다.” “어디 있든 퍼포먼스가 중요해요.” 유독 한 문구가 눈에 띈다. “아프니까 포닥이다.”
□ 대부분 계약직이라 경제적으로 어렵고 신분도 불안정하다. 교수와 대학원생의 중간 어디쯤에서, 잡무를 감당하느라 정작 ‘빅 페이퍼’ 낼 시간은 챙기기 쉽지 않다. 포닥 없으면 안 돌아가는 연구실이 부지기수인데, 대우해 주는 곳은 흔치 않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포닥의 세전 평균 연소득은 3,700만~4,400만 원이다. □ 포닥이 되는 시기는 대개 30대 초·중반이다. 결혼과 육아까지 겹쳐 “바닥을 치는 기분”에 시달렸다는 경험담, 번아웃에 우울증이 왔다는 사연이 널렸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못 찾아 이곳저곳 옮겨 다니는 ‘포닥 낭인’도 있다. 미래가 보장되는 의사 대신 과학자의 길을 택한 걸 후회하다가도, 아프니까 포닥이란 자조 섞인 말로 서로를 다독인다.
□ 뒤늦게 정부가 포닥의 지위를 법적으로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진작 했어야 할 조치를 이제야 하는 걸로 충분할 리 없다. 국내 이공계 포닥은 5,000여 명으로 추산된다. 이들이 아프지 않아야 AI 시대, 우주 시대를 바라볼 수 있다. 이공계 자퇴생이 서울대와 연·고대에서만 1,300명이 넘는다. 포닥의 삶이 달라지지 않으면 이 숫자는 줄지 않을 것이다. 기사저장 댓글 쓰기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 지평선 구독하기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가상자산' 규제 첫발…주요 내용과 한계는?얼마 전 유럽연합이 세계 최초로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 법안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이 가상자산 관련법, 우리는 어디까지 와 있는지 박예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우원 어머니, 폭로 동참···“현금 가득 금고·김환기 그림도 있었다”전직 대통령 고 전두환씨의 손자 전우원씨(27)의 어머니 최모씨(54)가 전씨에 대한 폭로에 동참했다. 최씨는 전씨의 집에 현금이 가득한 비밀 금고, 몇십억원 상당의 김환기 화가의 그림 등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소행성 흙’ 담긴 미 탐사선 9월24일 지구 안착…생명체 비밀 밝힐까미국이 7년 전 발사했던 우주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소행성 ‘베누’에 대한 탐사를 마치고 올해 9월24일(미국시간) 지구로 돌아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늘의 졸도는 내일의 급사' 이 의사가 까치발로 일하는 이유 | 중앙일보'한번 쓰러져 심장마비를 경험했다면 1년 내에 또 다른 마비가 찾아올 확률이 60% 이상'\r부정맥 심장 종아리 김영훈교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스딱] 경비 노동자 울리는 말 '공부 못하면 저 아저씨처럼…'얼마 전 강남의 한 아파트 경비 노동자가 갑질 피해를 호소하며 극단적 선택을 했는데요. 경비 노동자들에 대한 갑질과 부당한 업무지시가 여전히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3대 소고기가 주재료…윤·기시다 두번의 만찬, 그집 가보니 | 중앙일보렌가테이는 돈가스와 오므라이스 등 '일본풍 경양식'의 원조로 알려진 식당입니다.\r윤석열 기시다 일본 렌가테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