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희생자 박수현군의 아버지 박종대씨(60)의 세월은 아들이 세상을 떠난 전남 진도 동거차도 앞바다에 멈춰 있다. 2014년 4월16일 오전 8시52분. 수현군은 수...
세월호 참사 유가족 박종대씨가 지난 3일 경기 안산시 단원구의 한 카페에서 세월호 관련 수사기록을 들여다보며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2014년 4월16일 오전 8시52분. 수현군은 수학여행을 떠나다가 기울어진 배 안에서 15분 가량의 영상을 찍었다. 영상에 나온 안산 단원고등학교 아이들은 “나 죽는 거 아냐?”라는 말을 농담처럼 던지다가 “혹시 모르니 구명조끼를 꺼내놔야 할 것 같다”며 불안해했다. 불현듯 “엄마, 아빠 사랑해요” 외치기도 했다. 모든 말에는 웃음기가 묻어 있었다. 두렵지만 끝내 구조될 것이라 믿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들의 머리 위로 “현재 위치에서 절대 이동하지 말라”는 안내방송이 나왔다. 아이들은 그저 따랐다.
그날의 증거를 남긴 아들의 뒤를 이어 아버지는 흩어진 자료를 모으며 진상 찾기에 나섰다. 그리고 그의 염원은 10년째 현재진행형이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조사는 막을 내린 지 오래다. 관계자들에 대한 법원 재판도 끝나간다. 하지만 그는 “아직 진상 규명이 되지 않았다”고 말한다.박종대씨, 아들 잃고 ‘진실’ 천착 시작 세월호가 침몰한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부근 사고 해상에서 2014년 4월17일 해경과 해군이 실종자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김영민 기자 그는 매일 10년 전 4월16일로 돌아간다. 세월호가 침몰하기 전, 선장과 선원들이 승객들을 두고 탈출하기 이전의 구조당국과 세월호의 교신 기록을 보고 또 본다. 거듭 재구성해보는 현장에서 상황파악 및 구조에 실패하며 허둥대는 목포서·서해청·123정 해양경찰들의 모습이 보인다. 하지만 말단인 김경일 해경 123정장을 제외하고는 지휘부 중 형사책임을 진 사람은 없다. 박씨는 “법원은 해경 지휘부가 사후적으로 평가할 때 최선의 방법으로 지휘를 하지 못했다는 것만으로 처벌할 수 없다고 봤지만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해경은 단순히 미흡했던 것이 아니라 명백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박씨는 지금도 침몰 101분 동안 구조당국이 했어야 하는 일은 무엇이고, 무엇을 하지 않았는지를 분초 단위로 검증한다. 없는 자료는 정보 공개 청구를 하며 일상을 보낸다. 구조당국에 제대로 된 책임을 묻지 못한 논리를 조금이라도 파훼할 수 있는 ‘사실’을 찾기 위해서다.
10년의 세월. 그는 “국가가 기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직접 기록할 수밖에 없었고, 알지 못하면 온갖 조사 보고서를 검증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직접 공부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찢긴 상처 틈새로 ‘하나된 봄’이 왔다[세월호 10년, 함께 건너다]봄은 돌아옴을 쉬지 않는다. 팽목항 방파제를 따라 줄지어 달린 노란 리본도 찢기고 바래면서 10번째 봄을 맞았다. 아무도 그 리본이 10년을 버틸 줄 몰랐다. 그만 찾아오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에게 ‘안전한 세상’ 약속…10년째 ‘인재’ 도돌이표[세월호 10년, 함께 건너다]10년 전 봄, 아직 차가운 바다에 여객선이 침몰하면서 304명이 목숨을 잃었다. 인천에서 제주로 향하던 세월호에는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 단원고 2학년 학생들도 타고 있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가는 아직도 ‘부재 중’…아물 길 없어 상처는 덧난다[세월호 10년, 함께 건너다]세월호 참사 생존 학생 남채현씨(27·가명)는 국가배상 책임을 인정받기까지 이렇게 긴 세월이 걸릴 줄 몰랐다. 생존자 19명은 지난 2월 국가를 상대로 후유장해를 인정하라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생존자 아닌 선생님으로 봐준 아이들 덕에 성장”[세월호 10년, 함께 건너다]2014년 세월호에 타고 있던 단원고 학생 325명 중 구조된 사람은 75명이다. 생존 학생들은 약 두 달간 심리치료 등을 받고 학교로 돌아왔다. 2016년 1월 단원고에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음 추스르게 한 수많은 도움…갚으며 다시 일어서”[세월호 10년, 함께 건너다]“허리 아픈 사람은 무리하지 말고!” 노란 비닐 옷을 덧대 입은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 10명이 지난 1월13일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로 불리는 성북구 북정마을에서 분주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달라진 게 없었다”…일반인 희생자 유가족[세월호 10년, 함께 건너다]인천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에는 회색 바탕에 노란무늬가 들어간 등산 배낭이 보관돼 있다. 전태호 세월호일반인유가족협의회 위원장의 아버지 고 전종현씨가 10년 전 세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