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본·고보증 구조, ‘묻지마 투자’ 유발현재 3% 수준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의 자기자본비율을 최대 40% 수준까지 올려야 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제언이 나왔다. ‘저자본·고보증’ 구조를 뜯어고쳐야 부동산PF 부실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갈라파고스적 부동산PF, 근본적
저자본·고보증 구조, ‘묻지마 투자’ 유발 현재 3% 수준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의 자기자본비율을 최대 40% 수준까지 올려야 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제언이 나왔다. ‘저자본·고보증’ 구조를 뜯어고쳐야 부동산PF 부실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은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갈라파고스적 부동산PF, 근본적 구조 개선 필요’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업 주체인 시행사는 통상 총사업비의 3%에 해당하는 자본만 투입하고 나머지 대부분인 97%는 빚을 내 PF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최근 3년간 추진된 총 100조원 규모의 PF 사업장 300여개의 재무 구조를 분석했다. 개별 사업장에 필요한 총사업비는 평균 3749억원이었는데, 시행사는 자기자본을 118억원만 투입하고 96.8%인 3631억원은 빌린 돈으로 충당한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진은 “부동산PF 사업은 성공 여부가 불확실하고 위험한 반면 사업주체의 자기자본 투입은 적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에는 금융회사가 선뜻 PF대출을 내주기 어렵다”며 “그러나 한국에서는 시행사로부터 공사계약을 수주한 건설사가 PF대출의 상환을 사실상 보증한다”고 설명했다.자본확충 규제 필요…대상은 상업용→주거용으로연구진은 부동산PF 사업의 자기자본비율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고 건설사 등 제3자의 보증은 폐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자본확충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자본확충 규제는 시행사가 PF 대출을 받을 때 명시적으로 일정 수준의 최소 자기자본비율을 충족하도록 하는 직접 규제와, 금융사가 PF 대출을 공급할 때 자기자본비율이 낮을수록 더 많은 대손충당금을 쌓도록 하는 간접 규제로 나뉜다. 일률적인 직접 규제보다는 사업장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간접 규제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진의 주장이다.간접부동산투자회사인 리츠를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리츠는 이미 자기자본비율 규제를 받고 있고 주식의 30% 이상을 일반 청약에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어 개발이익을 국민이 나눠 가진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PF 사업비 97%는 빌린 돈…KDI “자기자본 비율 높여야”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평균 3%에 불과한 자기자본이 투입되고 사업비의 97%는 빚을 내 추진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국에서 이 비율이 30~40%에 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감원 '부동산PF 유의·부실 사업장 정리실적 부진시 현장점검'(서울=연합뉴스) 이율 기자=금융감독원이 이달 말 기준 연체중 또는 만기연장 횟수 3차례 이상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을 대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대 위험요인 부동산PF... 시행사 자본 늘리고, 건설사 3자 보증 폐지해야'국책연구기관 KDI, '부동산PF 근본적 구조 개선 필요' 보고서 발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식거래 늘자 수수료 '쏠쏠' 증권사 1분기 순익 17% 증가60개사 순익 2조5000억원회사채 발행증가도 실적 한몫고금리·부동산PF 부담은 여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MB '휴먼뉴딜' 朴 '뉴스테이' 文 '소주성' 공염불로 끝난 역대 중산층 정책정부 부처간 정책 불협화음부동산 가격 급등에 발목계층이동 사다리 역할하는노동·교육 개혁 속도 높여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속세 과세기준 15억으로 확 올려야'기업밸류업 세제개선 토론회현행 1억에서 대폭 상향하고최고세율 40%까지 완화해야종소세·분리과세 고를 수 있게배당소득 과세 선택제로 개편주식 장기보유땐 稅혜택 줘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