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약세, 미 증시 하락 전조” 예측은 일러

대한민국 뉴스 뉴스

“달러 약세, 미 증시 하락 전조” 예측은 일러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5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3%

달러 인덱스는 올해 2분기 106포인트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빠르게 떨어져 101포인트 수준으로 내려갔다. 이는 연초 수준으로 회귀한 것으로, 최고점 대비 약 4% 하락한 것이다. 근래 달러 인덱스가 하락한 주요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미국 경제

의 둔화 가능성, 둘째 엔화 강세, 셋째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다. 이중 미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는 경착륙보다는 연착륙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엔화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되는 과정에서 엔화 강세를 촉발하여 달러 약세 압력을 가중했다. 또한, 9월에 예상되는 보험적 성격의 금리 인하도 달러 롱 플레이를 제한하여 달러 가치 하락에 기여했다.

달러 가치의 하락이 미국 증시의 하락을 예고하는 걸까? 이러한 판단은 아직 이르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 달러 인덱스의 하락은 미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만 작용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엔화 강세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욱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또한 위 논리를 정당화하려면 미국 외에 매력적인 대체 투자처가 등장해야 한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기업의 시가총액 비중은 여전히 48%로 최고치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선행 지표에서도 미국과 신흥국 간 성장 모멘텀 차이는 여전히 크지 않다. 즉, 달러 자산을 매도하고 옮길 매력적인 새로운 시장이 아직 보이지 않으므로 ‘약달러=미국 주식 시장 하락의 전조’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마지막으로 미국 주식 시장과 달러 인덱스 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하면 두 변수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 S&P 500의 주당순이익과 달러 인덱스를 1년간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는 -1.0에서 1.0까지 방향성 없이 횡보한다. S&P 500 주가수익비율과 달러 인덱스 간 10년 상관계수도 -0.18로 애매한 수치를 보인다. 달러 약세가 미국 증시 하락의 전조증상이라 해석하는 것은 시기상조다.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1998년 당시 달러가 약세를 보이기 시작했을 때, 미국 주식 시장은 지금과 달리 오히려 상승했다. S&P500 지수는 1998년 1월 960에서 12월 1190으로 24.3% 상승했다. 달러가 약세를 보였던 기간 높은 성장률을 보인 산업은 정보통신, 금융, 소비재를 꼽을 수 있다.

전통적인 이론에 따르면,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수출 비중이 높거나 미국 내수 시장에 집중된 기업들이 이익을 본다. 예를 들어, 애플과 같은 수출 중심 기업은 달러 약세로 제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반면, 월마트와 같이 미국 내수 시장에 집중된 기업은 해외 제품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그러나 2020년 이후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이러한 기업들은 이미 강달러 환경에 적응했다. 이로 인해 통화 가치 변동이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빠질래야 더는 못 빠진다?”…1300원 초반까지 밀려난 환율에 시장도 ‘와글와글’“빠질래야 더는 못 빠진다?”…1300원 초반까지 밀려난 환율에 시장도 ‘와글와글’‘킹달러’ 꺾고 5개월 만에 최저 달러 강세 변곡점 vs 과대한 낙폭 ‘원/달러 환율 상승=증시 하락’ 공식 엇나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금리인하 기대에 달러 약세 심화…원-달러 환율 1331.8원에 개시미 금리인하 기대에 달러 약세 심화…원-달러 환율 1331.8원에 개시2022년 3월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작된 ‘강한 달러’ 시대가 막을 내리는 듯한 모습이다. 2022년 9월 한때 112까지 치솟았던 달러지수가 19일(미국 시각) 101대로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도 19일 23.6원(오후 3시30분 종가 기준) 떨어진 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통 약세장인 9월···이익 상향株로 피신하라전통 약세장인 9월···이익 상향株로 피신하라9월 미 증시 하락 확률 55% 평균수익률 -0.78%로 저조 영업익 증가시 주가하방 지지 크래프톤·SK스퀘어 등 주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망세 팽배' 코스피 소폭 내려 2,690대로…코스닥도 약세(종합)'관망세 팽배' 코스피 소폭 내려 2,690대로…코스닥도 약세(종합)(서울=연합뉴스) 이동환 기자=코스피가 23일 간밤 미국 증시 약세, 주요 이벤트를 앞둔 관망 심리 등 영향으로 소폭 내리며 눈치보기 장세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리 내리면 달러 1200원대? 서학개미여, 그 기대 버려라금리 내리면 달러 1200원대? 서학개미여, 그 기대 버려라지난달 말 기준 해외 32개 투자은행(IB)의 원·달러 환율 전망을 종합하면 올해 3분기 1332원→4분기 1325원→2025년 1분기 1319원→2분기 1315원으로 원·달러 환율은 하락(원화 가치 상승)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이에 머니랩에선 미국 주식을 조금이라도 더 싸게 사고 싶은 서학개미는 물론, 한국 주식 투자자(달러 약세는 보통 신흥국 주식에 호재)도 기다리는 달러 약세는 언제쯤 올지, 연말까지 원·달러 환율을 좌우할 수 있는 이벤트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점검해 봤다. '연말까진 원·달러 환율이 횡보하다가 내년 1분기를 지나면서 다시 반등(원화 가치 하락, 달러 가치 상승)할 것으로 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운명의 9월 美FOMC 글로벌 증시 '분기점'운명의 9월 美FOMC 글로벌 증시 '분기점'요동치는 금융시장 핵심변수최대 20조 달러 유동성 공급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공포8월초 아시아 증시 폭락 주범뒤엔 美·日금리차 축소 전망중동 확전 유가 고공행진땐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2:1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