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포함’ 기준 바꾸니 소득 0.7% 감소→0.4% 증가

대한민국 뉴스 뉴스

‘1인가구 포함’ 기준 바꾸니 소득 0.7% 감소→0.4% 증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66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0%
  • Publisher: 53%

17일 통계청장을 지낸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과 주요 경제부처에 따르면 2021년 5월 당시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가 대표적이다. 당시 통계청은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이 지난해 30%를 넘는 등 달라진 현실을 반영했다'며 '전문가 심의를 거쳐 기준을 바꿨다'고 해명했다. 표본에서 저소득층 비중을 크게 줄이고, 중산층·고소득층 비중은 늘리는 식으로 통계 원자료를 ‘마사지’해 소득 불평등을 개선한 효과를 보여주려 했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통계 조작’ 논란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드러난 감사 결과 외에 조사 방식 변경, 표본 비중 조정 등 방식으로 통계를 ‘마사지’했다는 의혹은 그간 꾸준히 제기돼왔다.

17일 통계청장을 지낸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과 주요 경제부처에 따르면 2021년 5월 당시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가 대표적이다. 가계동향조사는 가구당 소득·지출을 파악해 각종 경제·사회 정책을 만드는 데 쓰는 국가 핵심 통계 중 하나다. 통계청은 당시 조사에서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같은 기간 436만8000원에서 438만4000원으로 0.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하지만 이 수치는 해당 분기부터 새롭게 1인 가구를 조사 대상에 포함하면서 나온 결과다. 기존 2인 이상 비농림어가 기준으로 따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5만8000원에서 532만원으로 0.7% 줄었다. 당시 통계청은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이 지난해 30%를 넘는 등 달라진 현실을 반영했다”며 “전문가 심의를 거쳐 기준을 바꿨다”고 해명했다.

해당 조사에선 빈부격차 수준을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도 6.89에서 6.30으로 1년 전보다 개선됐다고 발표했다. 기존 기준보다 개선 폭이 더 크다. 역시 1인 가구를 새롭게 조사 대상에 포함한 결과다.앞서 2019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당시 표본 집단을 임의로 바꿨다는 의혹도 있다. 기존에는 전국 1인 이상 소득분포 표본에서 ‘월소득 200만원 미만’ 저소득층 비중이 32.9%였다. 하지만 변경한 뒤 표본 집단에서는 저소득층 비중이 7.1%포인트 낮아진 25.8%였다. 반대로 ‘월 소득 1000만원 이상’ 고소득층 비중은 기존 4.9%에서 1.1%포인트 늘어난 6%였다. 표본에서 저소득층 비중을 크게 줄이고, 중산층·고소득층 비중은 늘리는 식으로 통계 원자료를 ‘마사지’해 소득 불평등을 개선한 효과를 보여주려 했다는 것이다.

통계는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시계열 비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같은 기준을 놓고 과거 시점과 비교했을 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는 과정이다. 해당 시기에 갑작스럽게 조사 기준을 바꾸면서 통계의 연속적인 비교가 어려워졌다. 유경준 의원은 “감사원 감사 결과는 명백한 증거가 있는 부분만 적시했는데, 더 큰 문제는 분배 상황이 나아진 것처럼 보이기 위해 통계를 개편해 시계열을 단절시키거나 표본을 바꾼 것”이라고 꼬집었다. 감사원에 따르면 청와대와 국토교통부는 이런 통계자료를 공표 전 미리 받아봤다. 통계법 27조 2항은 통계 자료를 공표 전에 제공하면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다만 문 정부 인사들은 ‘통계기관이 신규 통계나 기존 통계를 변경하기 위해 전문가에게 의견을 구할 때 제공할 수 있다’는 예외조항을 근거로 사전 통계 제공이 정당하다고 주장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통계 조작’ 의혹 또 있나…'소득 0.7% 감소→0.4% 증가 탈바꿈'‘통계 조작’ 의혹 또 있나…'소득 0.7% 감소→0.4% 증가 탈바꿈'감사원이 지난 15일 당시 청와대가 통계청을 압박해 가계소득과 분배 지표가 개선된 것처럼 통계를 조작했다는 내용의 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다. 17일 통계청장을 지낸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과 주요 경제부처에 따르면 2021년 5월 당시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가 대표적이다. 당시 통계청은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이 지난해 30%를 넘는 등 달라진 현실을 반영했다'며 '전문가 심의를 거쳐 기준을 바꿨다'고 해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폰12 전자파 괜찮나…프랑스·벨기에 이어 한국도 재조사 나서아이폰12 전자파 괜찮나…프랑스·벨기에 이어 한국도 재조사 나서과기정통부 “기준 초과 시 판매중지 조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통계 조작' 논란 속…文 '고용노동정책 평가' 보고서 SNS에 공유'통계 조작' 논란 속…文 '고용노동정책 평가' 보고서 SNS에 공유문재인 전 대통령은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국노동사회연구소의 '문재인 정부 고용노동정책 평가' 보고서를 공유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이 작성한 '문재인 정부 고용노동정책 평가'를 공유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공유하면서 '문재인·민주당 정부 동안 고용률과 청년고용률 사상 최고, 비정규직 비율과 임금격차 감소 및 사회보험 가입 확대, 저임금 노동자 비율과 임금 불평등 대폭 축소, 노동분배율 대폭 개선, 장시간 노동 및 실노동시간 대폭 단축, 산재사고 사망자 대폭 감소, 노동조합 조직원 수와 조직률 크게 증가, 파업 발생 건수와 근로 손실 일수 안정, 고용안전망 사각지대 해소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철도노조 파업 사흘째 오전 운행률 79.2%…나들이객 ‘불편’철도노조 파업 사흘째 오전 운행률 79.2%…나들이객 ‘불편’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 파업이 사흘째 이어지는 16일 오전 9시 기준 전국 열차 운행률은 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똑같은데 브랜드만 다르네”…유명 인플루언서, 명품 ‘디자인’만 베껴 파는 기업형 조직 운영“똑같은데 브랜드만 다르네”…유명 인플루언서, 명품 ‘디자인’만 베껴 파는 기업형 조직 운영디자인을 그대로 베낀 제품 340억원(정품가격 기준) 어치 유통해 국내·외 유명 브랜드의 디자인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기도 대파도 ‘무럭무럭’…590평 작은 밭서 3000만원어치 전력 생산전기도 대파도 ‘무럭무럭’…590평 작은 밭서 3000만원어치 전력 생산한화큐셀 ‘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 가보니 1년간 130MWh 생산…140여명 사용전력 농업지속하도록 유도해 지속가능성 제고 탄소중립 지원·농가 소득 올려 일거양득 활성화 위한 농지법 시행령 개정 논의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19:4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