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9일 “‘따릉이’ 이용 요금을 현재 1일 1시간 권 기준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세히 읽어보기
“보고·개편 뒤 실제 요금 인상 시기 내년 5월쯤”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지하철·버스 요금 인상에 이어 공공자전거 ‘따릉이’ 요금 인상을 추진한다. 2015년 운영 개시 이후 요금 인상은 처음이다. 서울시는 29일 “‘따릉이’ 이용 요금을 현재 1일 1시간 권 기준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따릉이’ 이용권은 1일, 7일, 30일, 180일, 365일 이용권 등 크게 5종이 있다. 각 이용권은 하루 1시간 이용권과 2시간 이용권으로 구분해 판매된다. 따릉이 이용자는 하루에 각 시간 한도 내에서 대여와 반납을 반복해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요금 인상과 함께 1회 이용권을 신설할 계획이다. 1회 이용권은 요금 1000원에 1시간 한도에서 한 차례만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이다. 1시간을 다 이용하지 않고 반납하면 남은 시간 동안 재대여할 수 없는 점이 현행 1일 1시간 이용권과 다르다.
현행 5종의 이용권은 1일 이용권, 3일 이용권, 180일 이용권 등 3종으로 줄이고 각 2시간 이용권은 없앨 예정이다. 서울시는 신설되는 3일 이용권은 5000원, 180일권은 현재 1만5000원에서 3만5000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오세우 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와의 통화에서 “그동안 따릉이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광고 유치 등의 방안을 추진했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요금 인상안을 검토 중”이라며 “검토안을 적용하면 요금 수입이 3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지난 2019~2021년 따릉이 운영 적자 폭은 각각 89억원, 99억원, 103억원으로 매해 늘고 있다. 수지 개선을 위해 지난 9~10월 두 차례에 걸쳐 대여소와 따릉이 차체 광고 입찰 공고를 냈지만 모두 유찰됐다. 오 과장은 “앞으로 시의회 보고와 따릉이 시스템 개편 등을 거친 뒤 요금을 실제로 인상하는 시기는 내년 5월쯤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만성 적자' 따릉이 1시간 요금 1천→2천원 인상 검토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서울시가 만성 적자에 시달리는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 요금 인상을 추진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지하철·버스 요금, 300원씩 오를 듯…8년 만에 인상 추진현재 서울시 지하철과 시내버스 기본요금은 각각 1250원, 1200원입니다. 지하철 시내버스 요금인상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임승차' 정부 지원 무산…서울 지하철·버스 요금 다 오른다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65세 이상 지하철 무임승차로 인한 지방자치단체 손실 지원분(PSO)이 반영되지 않으면서 도시철도 운영 손실액이 수천억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서울지하철 무임승차 요금인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년인터뷰] 김현기 서울시의회 의장 '지하철 요금, 인상이 능사아냐'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김준태 기자=김현기 제11대 서울시의회 의장은 서울시가 지하철 요금 인상을 고려하는 것과 관련해 '요금 인상이 능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지하철·버스 요금 오른다…'내년 4월 300원씩 인상할 듯' | 중앙일보지하철 기본요금은 1250원에서 1550원이 됩니다.\r서울 대중교통 지하철 버스 요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