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빛공해 진행 속도라면 앞으로 18년 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밤하늘의 별은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별 빛공해 🔽 자세히 알아보기
“지금 보이는 별 18년 뒤면 반이상 안 보일것” 전 세계 도시 지역에서는 이미 보기 어렵게 된 밤하늘의 은하수. 게티 이미지 밤하늘에서 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늘을 밝게 만드는 빛공해 진행 속도가 알려진 것보다 5배 가량 빠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앞으로 18년 뒤면 지구에서 밤에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숫자가 지금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인류에게 마르지 않는 감성과 영감의 원천이 돼 온 ‘별이 빛나는 밤’이 머지않아 옛날 이야기가 된다는 이야기다. 독일 지구연구센터의 크리스토퍼 키바 박사가 연구센터와 미국 과학재단 광적외선천문연구실 과학자들과 함께 진행한 이 연구 결과는 19일 과학저널 에 발표됐다. 이들의 연구는 ‘밤의 지구’라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참가자 5만1351명이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제출한 육안 관측기록을 바탕으로 했다. 2006년부터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한 일종의 클라우드 소싱 방식 연구 프로그램이다.
연구를 이끈 독일 지구연구센터의 키바 박사는 연구센터가 배포한 연구 소개자료에서 “별이 보이지 않게 되는 속도는 도시환경에 사는 사람들에게 특히 극적”이라며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250개의 별을 볼 수 있는 곳에서 태어난 아기가 18살 생일에는 단지 100개의 별만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육안과 위성 분석 결과 사이의 큰 차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기존의 위성이 지구의 밤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연구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짚었다. 우주에서 지구를 내려다 보는 위성이 지구에서 인간이 올려다보는 밤하늘의 밝기를 측정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다. 구체적 원인으로 연구자들은 우선 인공조명 양상의 변화를 지목했다. 키바 박사는 “위성은 하늘을 향해 위쪽으로 향하는 빛에 가장 민감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스 태국 '시스루 드레스'는 캔 쓰레기였다…뒤늦게 밝힌 속뜻 | 중앙일보빈민가에서 태어난 그는 생활고로 인해 비구니들이 먹고 남은 음식을 먹고 성장했습니다.\r미스유니버스 태국 드레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몰아치는 간첩수사, 이유 있었다...신설 방첩센터가 주도 | 중앙일보국정원은 지난해 하반기 비서실장 아래 태스크포스 성격의 방첩센터를 신설했습니다.\r국가정보원 국정원 방첩센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60대 이상 코로나 사망률, 일상회복 뒤 되레 늘었다국내 첫 코로나19 환자가 나온 이후 3년간 사망자 통계를 전수 분석한 결과, 일상 회복이 시작된 지난해 만 60살 이상 고령층의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이 앞선 2년보다 도리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정부, 고령층 치료조처 부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뱃돈 주려고' 1천명 몰린 은행…번호표 뽑고 헛웃음 터졌다 | 중앙일보한국은행은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신권교환 업무를 진행 중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휴 마지막날 ‘-17도’ 최강 한파, 설날 전국에 비 또는 눈설 연휴 마지막 날인 24일에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가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2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짧은 명절, 빨리 내려가려고요'...이동량 20%↑ 예상거리 두기 없는 첫 설…귀성 차량 몰리기 시작 / 연휴 전 평일부터 귀성 행렬 이어져 / 아이들 손 꼭 잡고 이른 귀성길 발걸음 재촉 / 버스 터미널도 선물 챙긴 시민들로 ’북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