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동두천시의 관내 옛 성병관리소 건물 철거 예산 통과가 임박한 가운데 시민사회가 해당 문제를 유엔(UN) 인권이사회 진정하기로 했다.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등 63개 단체가 참여하는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정동 프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가 5일 서울 중구 정동 프란시스코 교육회관에서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를 위한 각계인사 선언과 유엔 진정서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공대위 제공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등 63개 단체가 참여하는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정동 프란시스코 교육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옛 성병관리소 철거는 우리 공동체가 성찰하고 반성해야 할 역사를 지우고 ‘미군 위안부’ 여성의 존재와 짓밟힌 인권을 우리의 기억에서 지우는 행위”라고 했다. 이번 선언에는 여성계, 문화계, 학계 등 각계 인사 300여명이 이름을 올렸다.
동두천시는 현재 상봉암동 소요산 자락에 있는 옛 성병관리소 철거를 위한 예산 2억2천만원이 포함된 추가경정예산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시의회는 6일 본회의에서 해당 예산을 통과시킬 전망이다.옛 성병관리소는 과거 국가가 운영한 ‘낙검자 수용소’다. 정부는 미군 기지촌 여성을 대상으로 성병 검사를 해, 보균자를 완치 때까지 이곳에 가뒀다. 앞서 2022년 9월 대법원은 “국가가 기지촌을 운영·관리한 것 자체의 위법성을 인정한다”고 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나온 한정숙 평화를 위한 여성회 이사장은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는 국가가 취약한 지위의 한국 여성들에게 애국이라는 명목으로 외국 군인들을 위한 성 접대 역할을 하게 하면서 여성의 신체를 억압하고 통제한 여러 장소 가운데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역사적 공간이다. 당대인과 미래세대를 위한 교훈의 장으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공동대책위는 성병관리소 철거 문제에 관해 유엔 인권위원회에 진정서도 보내기로 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하주희 변호사는 “유엔 특별보고관이 정부에 피해자의 관점에서 피해자의 의사를 존중해서 성병관리소를 기억과 추모의 장소로서 보존할 것을 권고하고 대법원 판결과 별도로 기지촌 위안부 피해자들의 역사, 인권 침해 사례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기 위한 사과와 피해자 회복을 위한 경제적·심리적 지원 현황을 조사하고 필요한 권고를 해 달라고 요청한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논란…시민단체 “미군 위안부 역사 기억을”경기 동두천시가 한국전쟁 이후 국가가 ‘미군 위안부’를 강제 격리수용했던 옛 성병관리소 건물 철거에 나서자 시민사회가 “근현대 문화유산 철거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며 반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두천시 ‘성병관리소’ 철거…시민단체 “미군 위안부, 지울 역사 아니라 반성해야 할 역사” [플랫]경기 동두천시가 한국전쟁 이후 국가가 ‘미군 위안부’를 강제 격리수용했던 옛 성병관리소 건물 철거에 나서자 시민사회가 “근현대 문화유산 철거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며 반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역사유적일까 흉물일까' 동두천 성병관리소 철거 '논란'(동두천=연합뉴스) 권숙희 기자=경기 동두천시가 관광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옛 성병관리소 건물의 철거를 추진하자 59개 시민단체가 연대해 강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두천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를 위한 천막농성을 시작하며7월 하순 경부터 사상 최고의 폭염이라는 불볕더위가 한 달 넘게 이어졌다. 태풍 '종다리'가 지나가고 기온이 좀 떨어졌으나 무더위가 채 가시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후덥지근한 습도는 더 높아졌다. 나는 철재공장에서 오전엔 박스 포장을 하고 오후엔 대형트럭을 몰고 납품을 나가는데, 일을 할 때면 금세 온몸이 땀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흉물’ 된 지 오래인데...미군 기지촌 내 ‘몽키하우스’ 철거 반대 이유는경기 동두천시가 옛 성병관리소의 철거를 추진하자 시민단체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시민단체는 미군 기지촌 여성들의 아픈 역사인 성병관리소를 근현대사 유적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5일 동두천시 등에 따르면 소요산 초입에 위치한 옛 성병관리소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 미군 상대 성매매 종사자들의 성병을 검사하고 성병에 걸릴 경우 수용하는 시설로 정부에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실 “독도는 우리땅... 野 괴담, 국민 먹고 사는데 도움 안돼”정혜전 대변인 브리핑 “과반 의석 野 계엄 해제 가능 괴담 아니면 존재 이유 없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