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동두천시가 옛 성병관리소의 철거를 추진하자 시민단체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시민단체는 미군 기지촌 여성들의 아픈 역사인 성병관리소를 근현대사 유적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5일 동두천시 등에 따르면 소요산 초입에 위치한 옛 성병관리소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 미군 상대 성매매 종사자들의 성병을 검사하고 성병에 걸릴 경우 수용하는 시설로 정부에서
경기 동두천시가 옛 성병관리소의 철거를 추진하자 시민단체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시민단체는 미군 기지촌 여성들의 아픈 역사인 성병관리소를 근현대사 유적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5일 동두천시 등에 따르면 소요산 초입에 위치한 옛 성병관리소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 미군 상대 성매매 종사자들의 성병을 검사하고 성병에 걸릴 경우 수용하는 시설로 정부에서 운영했다.부지면적 6766㎡에 2층짜리 건물로 지어진 이 시설은 방 7개에 140명까지 수용이 가능했다.동두천을 비롯한 경기도 미군 주둔지역에 존재하던 성병관리소 6곳은 1990년대 이후 운영이 중단됐다. 그중 1996년 폐쇄된 동두천 성병관리소만 아직 건물이 남았다.현재 성병관리소는 출입이 제한돼 있음에도 출처를 알 수 없는 각종 쓰레기와 그라피티, 낙서 등으로 뒤덮여 있다. 내부 천장은 곧 무너질 듯한 모습이다.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시의 사업 추진에 소요산 관광지 인근 상인과 주민들은 철거를 반기고 있다.하지만 시민단체의 반대에 부딪히며 옛 성병관리소 철거 작업은 난관에 봉착했다.
이들은 “성병관리소는 여성들을 강제 감금하고 페니실린을 과다 투약해 생명을 치명적으로 위협한 수용소”라며 “이곳을 거쳐 간 수많은 여성의 기억 속에 생생하게 살아있는 현실”이라고 주장했다.공대위 측은 동두천시의회 임시회 이틀 전인 이날부터 동두천시청 맞은편 농성장에서 철거 저지 시위를 하다가 회기가 끝나면 성병관리소 건물 앞에서 농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동두천시 ‘성병관리소’ 철거…시민단체 “미군 위안부, 지울 역사 아니라 반성해야 할 역사” [플랫]경기 동두천시가 한국전쟁 이후 국가가 ‘미군 위안부’를 강제 격리수용했던 옛 성병관리소 건물 철거에 나서자 시민사회가 “근현대 문화유산 철거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며 반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논란…시민단체 “미군 위안부 역사 기억을”경기 동두천시가 한국전쟁 이후 국가가 ‘미군 위안부’를 강제 격리수용했던 옛 성병관리소 건물 철거에 나서자 시민사회가 “근현대 문화유산 철거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며 반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주대첩광장 흉물 콘크리트 철거 시민대책위' 구성[관련기사] 940억 들인 진주대첩광장 공개, 시설물-조경수 논란 https://omn.kr/29pwc 17년간 추진 끝에 곧 준공을 앞둔 진주대첩광장을 두고 말이 많은 가운데, '진주대첩광장 흉물 콘크리트 철거 시민대책위원회'(아래 시민대책위)가 구성된다. 진주참여연대는 오는 21일 오전 진주대청광장 공사 현장 앞에서 출범 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도쿄 가지 말고...' 미군 붙잡으려 정부가 했던 끔찍한 일[이승만 시대별곡] 정권의 기지촌 확장 정책...여성들 성매매로 내몬 '국가폭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주대첩광장 흉물 콘크리트 철거하라'[관련기사] 940억 들인 진주대첩광장 공개, 시설물-조경수 논란 '진주대첩광장 흉물 콘크리트 철거 시민대책위' 구성 곧 준공을 앞둔 진주대첩광장에 생긴 500석 규모의 콘크리트 관람석을 철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진주참여연대를 비롯하 단체들은 '진주대첩광장 흉물 콘크리트 철거 시민대책위원회'(아래 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베를린 소녀상 철거 반대…2000명 주민 서명 구의회 전달독일 베를린 시민들이 철거 위험에 처한 ‘평화의 소녀상’(이하 소녀상) 존치를 요구하는 주민 서명을 31일(현지시각) 미테 구의회에 전달했다. 이날 오전 미테구 시민 대표 3명과 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의 한정화 대표는 미테 구의회에 2000명 주민 서명이 담긴 청원서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