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공사)의 민주노총 소속 노동조합이 9일부터 이틀간 경고 파업에 돌입했다. 서울시와 공사의 입장 변화가 없을 경우 16일 수능 특별수송 후 2차 전면 파업도 예고했다. 공사의 3개 노조 가운데 민주노총과 함께 노사협상에 참여한 한국노총 소속 통합노조마저도 파업에 동참하지 않았을 정도로 이번 파업은 명분이 약하다. ..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민주노총 소속 노동조합이 9일부터 이틀간 경고 파업에 돌입했다. 서울시와 공사의 입장 변화가 없을 경우 16일 수능 특별수송 후 2차 전면 파업도 예고했다. 공사의 3개 노조 가운데 민주노총과 함께 노사협상에 참여한 한국노총 소속 통합노조마저도 파업에 동참하지 않았을 정도로 이번 파업은 명분이 약하다. MZ세대 중심의 제3 노조인 올바른노조는"명백한 정치 파업"이라며 일찌감치 불참 의사를 밝혔다.
노사 간 핵심 쟁점은 인력 감축이다. 사측은 지난해 기준 17조6808억원까지 불어난 누적 적자를 해소하려면 2026년까지 공사 정원의 약 13.5%에 해당하는 2212명을 감축하고, 일부 업무를 외주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재인 정부 당시 무기계약직을 무리하게 정규직·일반직으로 전환해 인건비 부담이 늘어난 것이 경영 악화 요인인 만큼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노조는 '시민 안전'을 이유로 반발하고 있는데, 도덕적 해이부터 돌아봐야 한다. 서울시 감사위원회는 지난달 공사 노조 간부들이 노조 활동을 이유로 근로시간을 면제받는 '타임오프제'를 빌미로 무단결근을 반복하며 월급만 챙긴 정황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현행법상 공사는 타임오프 인원을 최대 32명까지 둘 수 있지만 실제 315명을 뒀다. 노조 간부들이 의무근무일에도 일하지 않은 날이 지난해 4418일이나 됐고, 이들이 받아 간 급여는 5년간 최대 849억원에 달했다.
시민의 발을 묶는 지하철 파업을 연례행사로 여기는 것도 문제다. 파업 시 71.2%의 필수유지 운행률을 유지한다고는 하지만, 파업은 시민 불편과 민생 악화를 불러온다. 더구나 서울지하철 기본요금을 1250원에서 1400원으로 올린 것이 불과 한 달 전이다. 세금으로 적자를 메우는 상황에서 자구 노력 없는 파업은 공감을 얻기 힘들다. 습관성 파업을 뿌리 뽑기 위해 서울시와 공사도 엄정 대응에 나서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여기도 MZ노조 화났다…서울지하철 파업 하루 앞두고 ‘쓴소리’이른바 ‘MZ노조’로 불리는 서울교통공사의 제3노조 ‘올바른노조’가 양대 노조(한국노총 민주노총)가 예고한 파업을 하루 앞둔 8일 비판에 나섰다. 올바른노조는 양대노조의 파업 행태를 비판하는 동시 사측의 경영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서도 함께 지적하며 현장을 고려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올바른노조는 이날 오전 서울시청 인근에서 ‘단체행동’이라는 집회를 열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교공, 인력감축안 합의 불발…노조 “이틀간 경고파업”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9일부터 이틀간 파업 돌입을 선언했다. 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업 예정일 앞두고 서울교통공사 노사 막판 협상 돌입[앵커]파업 예정일을 하루 앞두고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오늘 최종 협상에 나섰습니다.협상이 결렬되면 내일부터 노조는 파업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하철 파업 D-1…7~8명 중 1명 인력감축안에 “안전 위협” 맞서1~8호선 서울교통공사, 인력 2200여명 감축안노조 “인력감축과 안전업무 외주화 안전 위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서울 1~8호선 지하철 내일부터 이틀간 파업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공사) 노동조합이 9일 아침 9시부터 10일 오후 6시까지 이틀 동안 경고 파업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지하철 1~8호선 오늘부터 이틀간 파업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서교공) 노동조합이 9~10일 이틀간 파업을 한다. 노조 측은 '최종적으로 사측이 인력 감축, 안전업무 외주화 입장을 철회하지 않았다. 또 정년퇴직 인력조차 채용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교섭이) 결렬됐다'고 설명했다. 노조의 파업이 시작돼도 필수유지업무 협정에 따라 서울 지하철이 전면적으로 멈춰 서지는 않는다. - 지하철,서울 지하철,지하철 운행,서교공과 노조,서교공,경고파업,서울교통공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