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는 명함도 못 내미네...8192가지 뇌유형, 내 아이는 어떤 타입? (1부) [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

대한민국 뉴스 뉴스

MBTI는 명함도 못 내미네...8192가지 뇌유형, 내 아이는 어떤 타입? (1부) [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5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51%

ChatGPT-4o가 출시되면서 전세계적으로 AI 패권을 놓고 각축전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온디바이스 AI는 모든 데이터 처리를 개인의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 내부에서 직접 처리하는 인공지능입니다. 이렇게 되면 개인 맞춤식 서비스가 가능한 인공지능시대가 열리게

ChatGPT-4o가 출시되면서 전세계적으로 AI 패권을 놓고 각축전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온디바이스 AI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온디바이스 AI는 모든 데이터 처리를 개인의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 내부에서 직접 처리하는 인공지능입니다. 이렇게 되면 개인 맞춤식 서비스가 가능한 인공지능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그야말로 초개인화된 세상이 성큼 다가오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초개인화의 물결이 우리의 삶 깊숙이 빠르게 침투해 들어올 것입니다.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닐 것입니다.

혹시나 오해의 여지가 있을 수 있어서 한 말씀드리면, 이 검사를 소개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잘 아는 기회를 삼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검사 내용을 여러분들과 공유하는 것입니다. 누구든지 자신을 잘 알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검사를 통해서 자신을 객관적으로 한 차원 위에서 내려다 볼 수 있으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또 무엇을 잘 할 수 있고 못하는지를 알수 있고, 어떻게 해야 좋은 성과를 만들지도 알 수 있습니다. 아이들 교육에서는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제 의도는 여러분들의 자녀가 성공적인 인생을 사는데 도움이라도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정보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첫번째, 수현이의 인지성향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지성향은 8칸으로 구성된 파랑색 기둥이 보이지요. 여기서 인지성향이란 외부자극에 대해서 아이가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유형의 학습역량를 진단해보면, 이 유형은 전형적인 좌뇌아이와 비교했을 때 사물의 원리를 파고드는 호기심의 양적 측면에서는 좀 약하지만, 사물을 바라보는 독창성 또는 예민성 측면은 오히려 더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분야에서 독보적, 독창적 위치를 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력과 분석력이 조금 떨어지다보니 이과에 가서 전형적인 좌뇌아이와 경쟁을 할 때 최상위 성적에서는 밀릴 수가 있습니다. 수학처럼 일정부분 양치기를 해야하는 우리 교육현실에서는 다소 불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반복하는 것을 유난히 싫어해서 공부를 시키기가 보통 까다로운 것이 아닙니다. 하면 잘 할 수 있는 그것을 안해서 엄마의 속을 태우는 스타일이기도 합니다. 이 유형은 자신만의 고유한 커리어를 꾸준히 쌓아 수시에서 좋은 결과를 얻게 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학습적인 측면에서 보면 우뇌의 창의성과 상상력이 약해지고 있다는 신호가 여기저기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유형은 자신이 좋아하는 한두 가지 과제에 몰입하는 스타일이다 보니 다양한 자극을 거부하는 경향이 강한 것이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국어는 집을 팔아도 안된다’ 라는 문제가 생길 확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어에 문제가 생기지 않으려면 더는 이 지수가 아래로 떨어져서는 안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문제 유형 풀이만으로는 한계...아이 뇌 세계 최고 수준으로 만들어주려면 [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문제 유형 풀이만으로는 한계...아이 뇌 세계 최고 수준으로 만들어주려면 [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자녀가 최상위그룹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면 제일 좋고, 늦어도 중학교 때는 어느 정도 기본기를 잡아줘야 할 공통역량이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말씀드린 생각의 차원을 높여서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다차원적 사고 외에 한 가지가 더 있는데 그것이 바로 구조적 사고(structural thinking)입니다. 구조적 사고를 훈련시키는 것은 마치 아이 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자의 머릿속으로 들어가려면...문장을 하나하나 해부해라 [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저자의 머릿속으로 들어가려면...문장을 하나하나 해부해라 [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21세기 인류는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가속적 변화 상황, VUCA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함(Ambiguity)이 거의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이처럼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속에서는 어제 배운 지식이 오늘 당장 필요 없어질 정도입니다. 거기에 더해 A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력적인 오답’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매력적인 오답’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공부 뇌 만들기 프로젝트]입시에서 경쟁이 있는 한 최상위를 변별하는 고난도 문항은 결코 사라지지 않습니다. 쉽게 말해서 누구나 다 좋은 대학을 갈 수는 없다는 것이죠. 그래서 만들어진 장벽이 바로 킬러문항입니다. 킬러문항이란 교과범위를 벗어난 고난도 문제를 출제하여 최상위 변별력 확보가 가능하게 하는 문제입니다. 지난 해 수능부터는 킬러문항이라는 말이 사라지고 ‘매력적 오답’이라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기, '집에서 죽겠습니다'라는 사람들이 있다여기, '집에서 죽겠습니다'라는 사람들이 있다[리뷰] EBS '내 마지막 집은 어디인가' 1·2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집에 가자, 집에 가자' 요양원 나온 어머니가 제일 먼저 한 일'집에 가자, 집에 가자' 요양원 나온 어머니가 제일 먼저 한 일[리뷰] EBS '내 마지막 집은 어디인가' 3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판교 대장지구 마지막 기회라더니…‘미분양’ 판교TH212, 너무 비쌌나판교 대장지구 마지막 기회라더니…‘미분양’ 판교TH212, 너무 비쌌나선착순 계약 중…일부 타입 청약 미달 14억~22억원대 고분양가 부담된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20: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