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음료 업계가 웰니스와 기능성 중심으로 성장하며, K-푸드와의 결합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전망이다. 삼일PwC의 'K-음료, Zero or More' 보고서는 월니스와 기능성 음료의 비중을 늘리고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인기 끄는 K푸드와 짝꿍으로 공략 국내 음료가 국외 시장에서 잘 팔리려면 월니스와 기능성 음료 를 선호하는 추세에 맞게 제품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K-음료 가 K-푸드 와 함께 해외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에 세계인의 입맛에 맞춘 신제품 개발이 이뤄지면 성공 가능성이 배가된다는 것이다.이번 보고서는 한국 음료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국내 음료 업계에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발간됐다. 다만 여기서 음료류는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으로, 알코올이 포함된 주류는 포함되지 않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음료 제조업은 2023년 생산액 기준 전체 식품 제조업의 약 12.5% 비중을 차지한다. 음료류 시장 규모는 2018년 이후 5년간 연평균 5.5% 성장률로 꾸준히 커지고 있다. 2023년 11조 536억 원을 달성했다.보고서는 최근 국내 음료 산업의 트렌드를 ‘3無 3有’로 요약했다. 3무는 제로 칼로리, 디카페인, 무알코올 주류를 의미한다. 3유는 기능성 및 고급화, 채널 및 제품의 다양화·세분화, 친환경을 뜻한다. 눈에 띄는 국내시장의 변화로는 기능성 음료 시장의 두드러지는 성장세와 일부 커피 수요의 차로 이동 등이 언급됐다. 기능성 음료의 경우, 2020년 12월 일반식품기능성표시제 시행 이후 각종 기능성 원료를 포함한 릴랙스 드링크, 다이어트 음료, 단백질 음료 등이 대거 출시됐다.또한 카페인 섭취를 줄이려는 수요 및 여유와 힐링을 중시하는 기조가 확산하며 차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즉석음료 형태의 홍차 제품, 우유와 조합된 제품, 주류에 섞어 마시는 제품 등 여러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정낙열 삼일PwC 소비재산업 리더는 “국내 음료 시장이 웰니스와 기능성 중심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음식료 수출이 본격화되면서 음료 시장도 글로벌 트렌드 및 취향에 맞춘 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K-음료 웰니스 음료 기능성 음료 K-푸드 글로벌 성공 전략 삼일pwc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마크 마하니, 월가의 최고참 기술주 애널리스트마크 마하니, 에버코어 시니어 매니징디렉터, 그의 경력과 성공 및 실패의 교훈, 그리고 그가 강조하는 투자 원칙에 대한 글로벌 머니 인터뷰 내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뉴진스가 빼빼로 들고 타임스퀘어로 갔다”…해외시장 공략 집중하는 롯데웰푸드롯데웰푸드 ‘빼빼로’ 글로벌 진출 집중 뉴욕 타임스퀘어서 ‘빼빼로’ 광고 앞서 빼빼로 모델 그룹 뉴진스 발탁 “빼빼로 메가브랜드 만들기 위한 전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World & Now] 한류에서 배운 K기업 생존법글로벌 팬 사로잡은 K콘텐츠국내 흥행작이 해외서도 인기북미계 멤버 위주 걸그룹 꾸려미국 주류사회 파고드는 K팝철저한 현지화가 성공의 비결무역장벽 높이는 트럼프 시대우리 기업도 현지화 전략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워런 버핏과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3분기 투자 전략 분석워런 버핏과 스탠리 드러켄밀러를 포함한 최고의 투자 전문가들이 3분기 투자 동향을 분석, 비만치료제와 AI 시대의 회사들을 주목하였습니다. 13F 공시 자료를 통해 스탠리 드러켄밀러가 제2의 엔비디아로 점찍은 기업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리아스AI, UKF NYC 스타트업 서밋·글로벌 피치 in NY 참여 등 미국 진출 본격화일리아스AI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미국에서 혁신적인 후각 인식 AI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뉴욕에서 열린 UKF NYC 스타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은 경쟁자도 아니다”…메모리 물량공세 퍼붓는 이 나라, 무시했다간내수·정부 전폭지원 힘입어 中반도체 기업들 물량공세 삼성전자 기술 ‘턱밑 추격’ 美규제 불구 해외인재 영입 글로벌 게임 체인저로 부상 헐값 판매로 시장 ‘싹쓸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