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경제학회 정책포럼에서 AI 인재 유출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인재 부족과 경직된 노동시장이 AI 산업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의 AI 인재 가 해외로 빠져나가는 문제가 크다. 저출생 · 고령화 로 절대적인 인재 숫자도 부족해질 것이다. 교육 인프라 스트럭처 개선과 제대로 된 보상을 받게 하는 노동시장 개혁이 필요하다.” 2025 전미경제학회 연례총회 기간인 5일(현지시간) 한미경제학회(KAEA)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글로벌 도전 속 한국 경제가 나아갈 방향’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정책포럼에서 국내 대표 경제 연구기관장들이 이같이 진단했다. AI 산업이 혁명적으로 진화하는 가운데 저출생 · 고령화 와 경직된 노동시장 이 인재 확보에 방해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이들은 AI 교육 인프라 개선과 성과주의 기반의 노동시장 구축을 AI 인재 유치의 선결 조건으로 꼽았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한국의 AI 대응이 선진국 대비 나쁘지 않다고 평가하면서도 경직된 노동시장 때문에 AI 인재 부문에서 뒤떨어지고 있다고 짚었다.
조 원장은 “국제통화기금(IMF)의 국가별 AI 역량 평가 지표를 보면 한국은 인적 자원과 고용 정책 부문에서만 유일하게 선진국 평균보다 뒤떨어져 있다”며 “결국 한국 노동시장이 매우 경직적이어서 AI 시대에 적응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IMF의 국가별 ‘AI 대비 지수’에 따르면 한국의 디지털 인프라, 혁신·경제통합도, AI 윤리·규제 등 3가지 부문 평가 지수는 주요 7개국(G7) 평균치와 동등하거나 오히려 나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뒤떨어지는 지표는 인적 자본과 노동 정책이 유일하다. 아울러 조 원장은 고령화 속에서 젊은 AI 인재를 확보하려면 성과주의에 기반한 노동시장 시스템과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많은 AI 인재가 미국 등 선진국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며 “한국 교육 인프라를 개선하고 성과를 내는 인력에 대한 보상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재원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원장은 저출생·고령화 문제가 AI와 같은 신성장 산업의 위축과 기업 생산성 하락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어드는 가운데 혁신적인 기술 발전의 밑거름이 되는 젊은 인구도 부족해져서다. 한국은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바 있다. 이재원 원장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력과 학습 능력을 따져보면 부족한 젊은 인력을 고령 인력으로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며 “일자리의 질과 성장 잠재력이 높은, 가령 AI와 같은 산업에 필요한 혁신적 아이디어는 주로 젊은 층에서 나온다”고 말했다. 이재원 원장은 저출생·고령화 문제를 방치하면 향후 30년 후 한국 잠재성장률이 0%로 추락할 수 있다고도 전망했다. 해외 인재를 확보하는 방안으로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원격 근무를 통한 인력 이주(Tele-Migration)’ 전략이 언급됐다. 이시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은 “디지털 산업 부문이 확대되면서 재택근무 등을 통해 국경을 넘어 일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해외 인력을 원격으로 확보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오는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이시욱 원장은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직후 ‘보편 관세’(10~20%) 카드를 통상 압박 수단으로 활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내에서 관세 인상이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곧바로 실행하기보다는 협상 카드로 내세우는 전략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다만 미국의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물가가 안정되는 상황이 도래하면 보편 관세 부과 등 공격적인 통상 정책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AI 인재 노동시장 경직 저출생 고령화 교육 인프라 성과 중심 보상체계 원격근무 관세 정책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 AI 인재 유출 심각…교육 인프라 개선과 보상체계 개편 시급한미경제학회 정책포럼에서 한국 연구기관장들은 AI 인재 부족과 유출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교육 인프라 개선과 성과 중심 보상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경직된 노동시장과 저출생·고령화 문제가 AI 인재 확보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당선, 반도체인재 유출 우려미국 트럼프 당선인이 H-1B 비자 확대를 옹호하며 혁신을 중시하는 정책을 선언하면서, 한국 반도체 인재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산 시민들, 윤석열 탄핵 집행 촉구하며 박수영 의원 사무실 앞에 항의부산 시민들은 숨 막힐 듯한 내란 사태 이후 탄핵 요구 해소를 촉구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과 탄핵을 주장하며 박수영 의원 사무실 앞에서 집회를 개최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1.8% 성장' 전망…추경 가능성 열어정부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전망하며 추가 경기 보강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관영매체, 중국·일본·한국 경제·무역협력 촉구글로벌타임스는 미국 무역 보호주의 부상 속에서 중국·일본·한국 간 경제·무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중국·일본·한국 자유무역지대 개발을 촉구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엄 혼란' 한국 경제, AI 붐 대만과 대조…'시총 약 1조달러 차이'(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한국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증시 등 한국 경제 상황이 세계적 인공지능(A...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