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사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킹_오브_클론 줄기세포 진실 황우석_박사의_몰락 국익 김형욱 기자
1995년 국내 과학계와 축산농계가 크게 요동쳤다. 서울대 생물 제어 연구실 황우석 교수팀이 8년여의 연구 끝에 세포 핵기술을 이용해 이른바 '슈퍼 송아지'라고 이름 붙인 복제 송아지를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그는 인터뷰에서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엄청난 '국익'이 뒤따를 것이라고 공언했다. 이듬해 1996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체세포 복제 양 돌리가 탄생하며 다시 한번 황우석의 이름이 드높아진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영화 은 황우석이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과학자의 반열에 올랐다가 한순간에 몰락의 길을 걸었던 순간들을 복기한다. 그는 어떻게 최고의 자리에 올랐고 왜 몰락의 길을 걸었나? 들여다보면 비단 황우석 개인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 나아가 인간의 욕망이 드러난다. 윤리도 자리하고 있다지만 간신히 껴 있는 모양새다.그렇게 자취를 감춘 황우석은 지금 어디서 뭘 하고 있을까. 들여다보니 황당하기 이를 데 없다. 실소도 나오는데, 한편으론 정말 대단하다 싶다. 그는 현재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바이오테크 연구 센터에서 동물 복제 연구를 계속하고 있었다. 낙타를 150마리 복제했다고 자랑스럽게 말한다. 그의 상관 이름이 낯익은데, 아랍에미리트 왕족이자 부통령 '셰이크 만수르 빈 자이드 알나얀'이다. 일명 '만수르'로 통하는 인물.
하지만 다큐멘터리가 여기서 그치면 안 될 일이다. 간략하게나마 현재의 위대한 발자취를 쫓았으니, 과거의 참혹하고 비윤리적이며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할 만한 짓거리를 쫒는 게 마땅하다.주지했듯 황우석은 2004년 에 인류 역사에 길이 남을 뻔한 논문을 게재한다."복제된 배반포로부터 만든 인간 줄기세포의 증거"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사람의 난자와 체세포만으로 만든 줄기세포를 이용해 환자의 손상된 조직이나 기관에 면역거부 반응 없이 이식이 가능하다고 했다.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도우며 인류의 수명을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을 거라고도 했다.
당시 한국이 들썩였고 세계가 요동쳤다. 황우석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었지만 동시에 난자 제공 의혹도 터져 나왔다. 논문 조작 의혹도 터졌다. 하지만 그는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연구를 강행하며 대중 앞에 나선다. 와중에 세계 최초로 개 복제에 성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MBC 이 방영된다.2005년 11월 22일 '황우석 신화의 난자 매매 의혹' 방송 이후, 생명윤리를 우선시하는 쪽과 국익을 우선시하는 쪽으로 한국 사회는 이분화됐다. 당시 국익론의 힘이 훨씬 강했는데, 정부를 위시한 대부분의 여론이 황우석을 옹오했다. 황우석은 방송 이후 대국민 기자회견을 열고 잘못을 시인, 백의종군할 것을 천명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삼계탕 한 그릇 2만원 안팎…여름 보양식 '오싹한 가격'초복이 오려면 아직 좀 남았는데도 이렇게 더워진 날씨 탓에 보양식 가게들은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계탕 가격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벌써 더우면 어쩌나'…녹아내릴 듯한 폭염에 전국이 숨 턱턱 | 연합뉴스(전국=연합뉴스) '아직 7월 초인데 벌써 이렇게 더워서 어떡하나. 올여름은 작년보다 더 덥다는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언덕길마다 아픈 무릎, 그래도 자전거 고집하는 이유언덕길마다 아픈 무릎, 그래도 자전거 고집하는 이유 자전거 은퇴 골짜기 박희종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文 '아직 냉전적 사고서 헤어나지 못한 사람들 많아'문재인 전 대통령은 윤석열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겨냥해, 아직도 냉전적 사고에서 헤어나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고 비판했습니다.문 전 대통령은 오늘(3일) 자신의 SNS에 역대 정부가 평화를 위한 정책에서 일관성을 갖고 이어달리기했다면 남북관계와 안보 상황, 그리고 경제까지도 얼마나 달라졌을까 생각해 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文 '아직 냉전적 사고'...尹의 '반국가세력' 발언에 반격?[앵커]'반국가 세력'이 종전선언을 노래 부르고 다녔다는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이 정치권 공방으로 이어진 가운데,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논란에 가세했습니다.냉전적 사고에서 헤어나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며, 사실상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했는데 대북정책을 놓고 전·현 정권 간 힘겨루기가 펼쳐지는 모습입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