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A씨는 지난 1년간 병원 한 곳에서 24번에 걸쳐 마약류 식욕억제제 6037개를 처방 받았다. 환자 B씨는 8개 의료기관에서 54번 차례에 걸쳐 식욕억제제 5346개를...
#환자 A씨는 지난 1년간 병원 한 곳에서 24번에 걸쳐 마약류 식욕억제제 6037개를 처방 받았다. 환자 B씨는 8개 의료기관에서 54번 차례에 걸쳐 식욕억제제 5346개를 받았다. 환자 C씨는 6개월 동안 4번에 거쳐 2540개를 처방 받았다. 진료 한 번당 평균 635개의 약을 받아 온 셈이다.
#충남 보령의 한 가정의학과 의원은 지난해에만 2만7549명의 환자에게 793만2444개의 마약류 식욕억제제를 처방했다. 해당 의료기관은 이른바 ‘다이어트 성지’로 전국적으로 알려진 의원으로 추정된다. 환자 1명에게 가장 많은 식욕억제제를 처방한 의사는 치과의사로 환자 1명에게 1920개의 식욕억제제를 처방했다.의료용 마약류 오남용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국내에서 처방된 식욕억제제는 2억2505만8760개, 처방 환자는 112만6585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3086명의 환자에게 61만6599개의 식욕억제제가 처방된 꼴이다.
올해도 증가세를 꺾이지 않고 있다. 올해 상반기 처방된 식욕억제제는 1억964만6871개로 처방 환자는 83만5287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 비해 일 평균 처방량은 소폭 줄었지만 처방 환자는 48% 늘었다.지난해 전체 식욕억제제 처방의 97%는 의원에서 이뤄졌다. 특히 개인 의원 처방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식욕억제제 처방량 상위 의사 30명을 분석해보니 이들 모두 의원급에서 근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30명이 지난 1년간 처방한 식욕억제제는 6700만개, 처방 환자는 27만4000명이 넘는다. 이는 지난해 전체 식욕억제제 처방량의 30.5%, 전체 처방 환자 수의 25.2%에 달하는 규모다. 연간 처방량의 3분의1 정도를 의사 30명이 처방한 것이다.마약류 식욕억제제는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펜터민·토피라메이트 등 성분을 담은 의약품으로 국내 총 76품목이 이에 해당한다.
식약처 가이드라인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처방을 비롯한 과다 처방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의사가 가이드라인을 어긴다 해도 제재할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은 청소년은 모두 4만860명에 달한다.식욕억제제 과다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도 늘고 있다. 마약류로 지정 관리 중인 식욕억제제를 과다복용할 경우 불면증·환청뿐 아니라 심장이상·정신분열 등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식욕억제제로 인한 부작용 보고 건수는 1383건으로 2020년 190건에서 2023년 342건으로 늘었다. 올들어 6월까지 보고된 부작용 건수는 215건이다.
김윤 의원은 “식약처가 올해 6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제도는 펜타닐에 대한 투약 여부만 확인할 수 있어 한계가 있다”며 “투약내역 확인 대상을 식욕억제제까지 확대하고 과도한 처방을 한 병원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묶인 환자 사망’ 양재웅 첫 인터뷰 “본질은 격리·강박보다 펜터민 중독 위험성“양재웅 부천더블유(W)진병원 원장이 자신의 병원에서 격리·강박 중 환자가 사망한 사건과 관련 해 입을 열었다. 양재웅 원장은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지난 5월27일 중독치료를 받던 30대 여성 입원 환자가 격리·강박 중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사과와 사죄”의 뜻을 전하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환자 사망’ 양재웅 “본질은 펜터민 중독, 격리·강박 아냐”정신의학과 전문의 양재웅 부천더블유(W)진병원장이 자신의 병원에서 격리·강박 중 환자가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깊은 애도를 전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재웅 원장은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지난 5월 27일 치료를 받던 30대 여성 입원 환자가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사과와 사죄”의 뜻을 밝히면서도 “치우친 시선으로 일반화해서 결론짓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분당만 평가항목 무려 16개…공공기여 두고 주민들 고심공공기여율 서울보다 낮지만추가 결정하면 평점 더 받아'市가 주민 갈등 부추기는 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승민 “의료 붕괴로 국민 죽어가…尹 대통령 직접 나서라”“윤 대통령, 의대증원 진단·처방 틀렸다” “사태 수습 못하면 국민이 책임 추궁할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스타그램 10대 청소년 계정, 비공개로 바뀐다…메시지 전달도 팔로워만 가능메타, 중독 등 안전 사용 강화 방안 마련 美·캐나다 우선 적용, 한국은 내년 전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많이 먹을수록 살 빠진다”…미국인이 1년에 19㎏씩 먹는 ‘이 음식’ 정체는 [박민기의 월드버스]‘다이어트의 적’ 취급받았던 치즈 고지방 다이어트 유행에 인기 급증 美 치즈 소비량, 버터·요거트 제쳐 팬데믹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도 “소비자 잡아라”…기업들 투자 확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