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잔액 관리 개선 추진충전 기록 실시간 외부 보관업계에선 '이중규제' 불만도
업계에선 '이중규제' 불만도 금융위원회가 선불충전금 잔액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관해 화재·해킹 같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소비자에게 정확한 금액을 환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선불충전금은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업체에 쇼핑을 위해 넣어두는 충전금을 말한다. 2021년 소비자에게 환불 중단 사태로 수천억 원대 피해를 준 '머지포인트' 사태의 재발을 막고 충전금과 관련해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다.지난해 9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으로 선불업 범위가 확대되고 충전금 별도 관리가 의무화됐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는 올해 9월까지 전금법 시행령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외부 보관 시스템 도입을 함께 검토 중이고 최근 금융결제원에서 관련 업계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다.
충전금 시장이 갈수록 커지면서 소비자 보호 대책도 이에 비례해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선불충전금 규모는 2019년 1조6000억원, 2020년 2조1000억원, 2021년 2조9000억원이다. 이 성장세를 보면 현재 규모는 4조원대로 추정된다. 외부 기록·관리 시스템을 마련하는 이유는 소비자에게 충전금이 정확하게 환급되도록 일종의 '백업 데이터'를 만들겠다는 취지에서다.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나거나, 머지포인트 사태처럼 업체가 파산해 업무가 마비돼도 외부에 보관해둔 정보를 통해 사고 발생 당시 소비자별로 정확한 충전금 잔액을 확인하고 환불하기 위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제로 트러스트 원칙하에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자체 백업 시스템을 갖춘 빅테크에서는 '이중 규제'가 될 수 있다는 불만도 나온다. 또 선불충전 업계 일각에서는 이 시스템 도입으로 '업체별 내부 거래 정보까지 수집될 것' '별도 법인을 설립해야 해 비용이 커진다'고 주장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화재 우려' vs '잠재적 방화범 취급'...전기차 지하 주차 금지한 아파트[띵동 이슈배달][앵커]2년 전, 부산에서 있었던 전기차 폭발 사고 사진입니다.언론 통해서 전기차 화재 모습 많이들 보셨죠.한번 불이 붙으면 쉽게 진화되지 않는 전기차의 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료 믿고 화염 속으로...서로를 평가하라고?' 소방관의 의무 [띵동 이슈배달][앵커]지난 1월, 소방관 2명이 순직한 문경 육가공 공장 화재와 관련해, 정부의 합동 감식 결과가 나왔습니다.공장 관계자가 사고 이틀 전에 화재 경보기를 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고 이틀 전 '화재 경보기' 껐다…인재로 드러난 문경 참사[앵커]지난 1월 젊은 소방관 두 명이 숨진 경북 문경 화재 사고 원인은 '인재'로 드러났습니다. 화재 경보 장치는 공장 관계자가 일부러 꺼둔 상태였고, 소방관들은 현장에 식용유 저장 탱크가 있다는 사실도 듣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탕에는 설치했으면서”…목욕탕 업주가 저지른 잘못, 뭐길래배수로 밟아 넘어진 사고, 업주 측 과실 “여탕엔 미끄럼 방지 매트 설치” 항소심도 기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또 재앙 닥칠라”…중국산 ‘이것’ 벌써 200만개 수입돼 풀렸다는데보호회로 없어 불 날 수 있는 형광등 안정기 안전인증도 받지 않고 200만개 수입해 유통 부산세관, 50대 수입업자 검찰에 송치 “높은 전압 못 견뎌 화재 이어질 가능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전하게 살고 싶다!'... 거대 양당에 쏟아진 '경고'[단비현장] 후쿠시마 핵 사고 13주년 에너지전환대회... "이 재난, 과거 아닌 현재진행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