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한동일 씨가 83세로 별세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전쟁으로 황폐해진 시절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1세대 글로벌 음악가로 활동하며 카네기홀 데뷔, 국제 콩쿠르 우승 등 한국인 음악가들에게 꿈과 시기를 열었습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1세대 한국인 음악가이자 피아니스트 한동일 씨가 29일 별세했습니다. 향년 83세입니다. 한동일 씨는 한국이 전쟁으로 황폐해진 1954년, 13세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피아노 신동으로 불렸습니다. 한국의 첫 신동 피아니스트 이자 첫 글로벌 음악인이었습니다. 그의 유학은 특별한 계기를 갖고 시작되었습니다. 1953년 고인이 피아노를 치는 모습을 본 주한 미군 사령관이 후원자인 자처하며 모금을 했습니다. 5000달러를 모아 한동일 의 유학 자금으로 보냈습니다. 한동일 씨는 임기를 마친 미군 사령관과 함께 비행기를 타고 뉴욕에 도착하여 줄리아드 예비학교에 장학생으로 입학했습니다. 카네기홀 데뷔,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 워싱턴 국립 오케스트라와 협연, 백악관 연주 등 한국인 음악가들에게 이정표가 되는 경력을 쌓았습니다. 1965년 레벤트리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면서 한국인 최초의 국제 콩쿠르 우승 자로 기록되었습니다.
피아니스트 김대진(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은 '진정한 1세대 피아니스트이자 선구자였다'고 추모했습니다. 구삼열 전 국가브랜드위원장은 “어려운 시절 우리 모두에게 희망과 자부심을 주신 상징이었고, 그가 있었기에 정트리오, 또 그 이후 한국 음악인들이 세계로 나갈 수 있었다”고 했습니다. 고인은 28세부터 미국 인디애나 음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이후 텍사스와 보스턴 등에서 총 37년 동안 미국에서 교수 생활을 했습니다. 생전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그는 “20대 후반 즈음 연주가 무서워졌다. 물건을 들고 해외를 떠도는 세일즈맨이 된 기분이었다”고 했습니다. 대신 학생들을 가르치며 안도하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학생 한 명 한 명이 레슨실에 찾아올 때마다 ‘이제 나도 가족이 생겼다’는 생각을 했다.” 1988년부터 고인에게 배웠던 피아니스트 이선경 국민대 명예교수는'학생들과 인간적인 교류를 많이 하신 분'이라 기억했습니다. 미군의 도움으로 미국에 간 지 50년 만인 2005년 고인은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울산대학교, 순천대학교에서 석좌 교수를 지냈고 2012년 다시 미국으로 돌아갔으며 2020년 한국에 영구 귀국했습니다. 최근까지도 무대에서 연주해 올해 4월 대전에서 독주회를 열었고 9월 부산에서 무대에 섰습니다. 함경남도 함흥 태생으로 6ㆍ25 전쟁 때 피난을 온 고인은 고향을 꿈꾸며 살았습니다. 2019년 더하우스콘서트와 미니 토크에서 그는 “고향인 함흥에 가는 것이 인생의 마지막 꿈이다”라며 “피아니스트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일제 시대에 기차를 타고 파리에서 부산까지 왔다고 했다. 나도 기차를 타고 파리까지 가보는 것이 소원”이라고 했습니다. 빈소는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이며 미국에서 유족이 도착하기를 기다려 다음 달 1일 마련된다. 발인은 다음 달 3일입니다
한동일 피아니스트 미국 유학 국제 콩쿠르 우승 한국 음악가 역사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동일, 백악관 연주 이후 국제적인 명성 얻은 피아니스트 별세한동일 피아니스트,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초청 백악관 연주회 진행, 20세기 최고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와 함께 공연, 1941년 함흥 출생, 13세 미국 유학, 16세 카네기홀 협연, 세계 25개국 순회 연주, 한국 음악 위상 높임, 1973년 훈장 수여, 2019년 귀국 후 활동 지속, 81세 타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목포 산정동성당, 전라남도의 역사와 신앙한국 천주교 역사를 되짚어보며, 전라남도에서 가장 역사 깊은 목포 산정동성당과 그 주변 지역의 성당들에 대한 소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머니랩 라운드테이블, 삼성전자 '저가 매수' 옳을까?국내 투자 전문가들이 어려운 한국 증시 속 삼성전자 투자 기회를 찾아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리 세느강, 낭만과 역사가 깃든 예술의 도시파리의 상징, 세느 강은 그 아름다움과 역사 속 깊은 이야기로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킨다. 작지만 압도적인 웅장함을 자랑하며 주변에 숨겨진 예술 작품과 문화 유적들을 보여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키스토크라시, '나쁜 자들의 지배' 빛나는 혼란의 한국이코노미스트가 올해의 단어로 '카키스토크라시(kakistocracy)'를 선정하며, 한국 정국도 이 단어에 빛나는 혼란을 보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소추와 권한대행 체제, 태극기 보수의 움직임 등 국정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강 작가의 '작별하지 않는다' 논란: 역사 왜곡 주장과 팩트체크한국 작가 한강의 최근작 '작별하지 않는다'가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한편, 이 주장을 반박하는 팩트체크 리포트가 나와 논란이 커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