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산정동성당, 전라남도의 역사와 신앙

NEWS 뉴스

목포 산정동성당, 전라남도의 역사와 신앙
천주교성당역사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77 sec. here
  • 8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1%
  • Publisher: 51%

한국 천주교 역사를 되짚어보며, 전라남도에서 가장 역사 깊은 목포 산정동성당과 그 주변 지역의 성당들에 대한 소개.

비상계엄 선포와 내란, 대통령 탄핵, 거기에다 계속되는 불경기까지 겹친 가운데 성탄과 연말이 다가왔다. 여느 때보다 어수선한 올 연말이다. 그럼에도 성탄의 의미를 다시 새겨본다. 사랑과 소망, 평화와 기쁨의 메시지를. 천주교 를 생각한다. 불교의 유구한 역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그래도 역사가 꽤 깊다. 우리 주변에 의미있는 성당이나 천주교 사적도 많다.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평화롭고 따뜻한 성당, 역사와 의미까지도 남다른 천주교 다. 전라남도에서 가장 역사 깊은 성당은 목포 산정동성당 이다. 가톨릭목포성지에 있는 산정동성당은 교황청으로부터 준대성전 칭호를 부여받았다. 준대성전은 역사, 예술, 신앙적으로 중요한 성당에 부여되는 명예로운 칭호다. 산정동성당은 1897년 광주대교구에서 처음 설립된 본당이다.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뿌리와 같은 곳이다. 1896년까지 전라도엔 전주 전동성당, 완주 되재성당, 김제 수류성당이 있었다.

조선 8대 교구장 뮈텔 주교가 전라도 나바위(익산)와 산정동(목포)에 본당 설립을 결정하면서다. 산정동성당에선 한국전쟁 때 3명의 사제가 순교했다. 미국 출신 광주대교구장 패트릭 브레넌 몬시뇰, 아일랜드 출신 산정동성당 토머스 쿠삭 주임신부와 존 오브라이언 보좌신부다. 성당에 순교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1953년 가톨릭 평신도 신앙 공동체인 레지오마리애가 처음 도입된 곳이기도 하다. 목포에서 가까운 무안엔 몽탄성당이 있다. 호남의 첫 한국인 사제 이내수 아우구스티노 신부가 1899년 부임하면서 시작됐다. 이내수 신부는 1년 7개월 만에 폐결핵으로 선종했다. 이내수 신부의 묘가 무안군 몽탄면 사천리에 있다. 우리나라 최서남단 해역 신안 흑산도엔 흑산성당과 흑산성당 사리공소가 있다. 흑산성당은 1958년 목포 산정동 본당에서 분리됐다. 초대 주임으로 브라질 요한신부가 부임했다. 무료 의약품 지원, 신용협동조합과 발전소 설립, 감귤단지 조성, 중학교 교육과정과 무료 급식소 운영 등을 통해 지역과 주민을 도왔다. 당시 유품과 기록물을 전시한 작은 박물관이 만들어져 있다. 흑산도 사리는 다산 정약용의 형, 손암 정약전이 신유박해 때 유배와 8년 동안 산 곳이다. 정약전은 이곳에 서당 '사촌서실'을 짓고 후학을 가르쳤다. 바닷물고기 생태를 다룬 도 완성했다. 사리공소는 사촌서실 아래에 1958년 들어섰다. 옛 공소의 돌장식이 멋스럽다.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돌담도 아름답다. 곡성성당은 1827년 일어난 정해박해의 진원지에 들어섰다. 을해박해(1815년)를 피해 곡성에서 옹기를 빚으며 살던 주민의 사소한 다툼을 빌미로 천주교인 박해가 다시 시작됐다. 곡성에서 시작된 천주교인 검거 선풍이 전라도 전역으로, 경상도와 충청도, 서울까지 확산됐다. 당시 천주교인을 잡아 가둔 감옥 자리에 성당이 들어섰다. 곡성성당을 '옥터 성지'라 부르는 이유다. 성당 자리에 당시 임시 감옥으로 쓰인 곡성현청의 객사가 있었다. 천주교인들이 여기서 옥고를 치렀다. 곡성성당은 1950년대 후반 들어섰다. 성당에 옛 감옥과 형틀이 복원돼 있다. 구례성당은 곡성 본당에서 분리됐다. 1958년 공소를 세우고, 1970년 성탄 전야에 본당으로 승격됐다. 가톨릭 신도들의 성지 순례지가 된 피정의 집도 지리산 피아골에 있다. 전남동부권 순천엔 저전동성당이 있다. 1916년 목포에서 세례를 받은 송성문 부부로부터 시작됐다. 1932년 본당으로 승격됐다. 신용협동조합을 설립하고, 사랑의 집을 개설하는 등 지역주민과 함께했다. 여수의 천주교는 1936년 동산동성당에서 시작됐다. 고흥 소록도엔 2번지(병사)성당과 1번지(직원)성당이 있다. 1번지성당의 십자가가 붕대에 감겨있다. 한센인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영광성당도 순교자 기념성당이다. 신유박해와 병인박해 때 2명씩 순교했다. 성당 입구 순교 기념문의 4개 칼 모양이 순교자를 상징한다. 성당 마당에 청동으로 만든 순교자 기도상도 설치돼 있다. 작지만 아담한 순례길도 성당 뒤편에 만들어져 있다. 함평성당은 1930년 목포에서 이사 온 이계윤·최말녀 부부로부터 시작됐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천주교 성당 역사 순교 목포 산정동성당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제주항일기념관과 올레19코스 트레킹제주항일기념관과 올레19코스 트레킹제주항일기념관을 방문하여 역사와 유물을 탐험하고, 올레19코스 트레킹을 통해 제주의 아름다움을 경험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백제시대부터 현대까지, 기름의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의 발전백제시대부터 현대까지, 기름의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의 발전유혜선 선생의 연구 논문을 통해 백제시대의 등잔에서 발견된 기름부터 현대의 석유 정제 산업까지, 한국의 기름 역사와 그 속에서 보여지는 경제 발전을 살펴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인의 무속 신앙, 독특한 문화적 특수성 반영한국인의 무속 신앙, 독특한 문화적 특수성 반영한국 무속이 종교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그 속에 한국인들의 욕망과 두려움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가 그 배경을 설명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딥페이크 사건 피해자들의 지옥 같은 일상딥페이크 사건 피해자들의 지옥 같은 일상한국에서 발생한 딥페이크 사건 피해자들이 겪는 고통을 소개한다. 딥페이크는 이미지 기반 성범죄의 진화된 형태로, 디지털 성범죄의 역사와 그 피해를 다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아시스 내한공연, 티켓 예매 열기오아시스 내한공연, 티켓 예매 열기록밴드 오아시스의 내한공연 티켓이 11개월 전부터 인기몰이 중이다. 공연에 대한 열정과 티켓 가격의 가치를 인정하며, 록 페스티벌의 역사와 그 변천사를 살펴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민식, 윤석열 정부의 역사의식과 철학의 부재를 드러내다박민식, 윤석열 정부의 역사의식과 철학의 부재를 드러내다박민식은 2023년 5월부터 초대 국가보훈부 장관을 맡아 '윤석열표 이념전쟁·역사전쟁 돌격대장'을 자임하였으나, 그의 주장은 역사와 이념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는 거리가 멀었고, 윤석열 정부의 역사의식과 철학의 부족함을 드러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12:4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