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상수지가 11월 93억 달러 흑자로 집계되어 7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2023년 10월에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이 반등한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수출 증가율이 감소한 반면 수입은 하락했다. 이는 석유제품, 승용차, 기계류 등의 원자재 수입 감소로 인해 주로 원인이 된다.
지난달 31일 부산항 신선대·감만·신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한국 경상수지 가 일곱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 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경상수지 는 93억 달러(약 13조53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같은 해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9000만 달러)를 낸 뒤 5월(89억2000만 달러)·6월(125억6000만 달러)·7월(89억7000만 달러)·8월(65억2000만 달러)·9월(109억4000만 달러)·10월(97억8000만 달러)에 이어 7개월 연속 흑자다. 11월 흑자액은 10월보다 약 5억 달러 줄었지만, 작년 11월(38억9000만 달러)보다는 많았다. 1∼11월 누적 경상수지 는 835억4000만 달러 흑자로, 2023년 같은 기간(280억7000만 달러)과 비교해 554억7000만 달러나 늘었다.
12월 집계가 남은 상태에서 한은의 연간 전망치(900억 달러)에 64억6000만 달러 부족하다. 항목별로 상품수지(97억5000만 달러)가 작년 4월 이후 20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흑자 규모도 10월(81억2000만 달러)과 비교해 16억 달러 이상 늘었다. 수출(571억 달러)은 1년 전보다 1.2% 늘었다. 2023년 10월에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반등한 뒤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수출 증가율은 10월(4.0%)이나 작년 11월(6.7%)보다 낮아졌다. 품목 중에서는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29.8%)·정보통신기기(8.5%)·철강제품(0.8%)이 늘었고, 지역별로는 동남아(9.1%)로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하지만 석유제품(-18.6%)·승용차(-14.1%)·기계류 및 정밀기기(-12.5%) 품목 수출과 대(對) 미국(-5.2%)·일본(-2.4%)·중국(-0.7%) 수출은 뒷걸음쳤다. 수입(473억5000만 달러)은 4.4% 줄었다. 석유제품(-19.4%)·화학공업제품(-17.2%)·원유(-16.8%)·석탄(-12.5%) 등 원자재 수입이 10.2% 감소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승용차(-30.9%)·곡물(-10.2%)을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6.3% 줄었다. 반대로 반도체 제조장비(77.4%)·반도체(24.5%) 등 자본재 수입은 11.3%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20억9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전월(-17억3000만 달러)보다는 크지만, 전년 같은 달(-22억1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줄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가 7억6000만 달러 적자였다. 적자 폭이 10월(-4억8000만 달러)보다 커졌는데, 중국 국경절 연휴 효과 등이 사라졌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19억4000만 달러로 10월(34억5000만 달러)보다 줄었다. 무엇보다 분기 배당 지급 등으로 배당소득 수지 흑자(6억 달러)가 한 달 사이 18억9000만 달러 감소했기 때문이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11월 중 97억6000만 달러 불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8억4000만 달러 늘었지만,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100만 달러 줄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3억9000만 달러 증가하는 동안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주식 위주로 21억2000만 달러 감소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상수지 7개월 연속 흑자, 반도체 수출 호조반도체 및 정보통신기기 수출 호조 지속으로 한국 경상수지 7개월 연속 흑자 기록. 11월 경상수지 93억 달러 흑자. 수출 571억 달러, 수입 473억 5000만 달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경상수지 6개월 연속 흑자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경상수지는 97억8천만달러 흑자로 집계되어 여섯 달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호조로 인한 흑자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수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상품 흑자 폭이 점차 줄어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GDP, 1인당 2년 연속 한국 밑돌아 OECD 22위…내년 대만에 이어 역전 예상일본 내각부가 발표한 2023년 1인당 명목 GDP는 3만3849달러로 한국보다 낮아 OECD 22위를 기록했습니다. 닛케이는 이는 1980년 이후 처음으로 한국에 GDP가 역전된 사례라고 지적했습니다. 엔저와 고령화로 인한 노동생산성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며, 2024년에는 대만에도 GDP가 추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산업생산 3개월 연속 감소, 건설업 7개월 연속 부진자동차 부품 파업과 건설업 부진으로 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건설업 생산은 7개월 연속 하락하며 26년 만에 최장 기간 부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내수경기 부진과 투자 둔화로 경기 반등 모멘텀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동산시장 뒤덮은 ‘계엄 후폭풍’…매수 심리 ‘꽁꽁’ 정부 정책동력 ‘상실’서울 아파트 거래량 2달 연속 3000건대 연간 목표치 45%만 채운 주택 인허가 “당분간 하락 기조 보일 가능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건강보험 재정, 4년 연속 흑자 기록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따르면, 건강보험 재정이 4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 지난해 건강보험 재정은 1조 7244억원 당기수지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건보 재정은 4년 연속 흑자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