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0개 과학고 입학원서 접수 통계 종로학원, 분석 자료 발표 학생 수 5.4% 줄었는데 지원자 전년 수준 서울권 2개 과고는 4.3대 1 기록 반도체학과 등 이과 선호현상이 원인
반도체학과 등 이과 선호현상이 원인 최근 마감한 2024학년도 과학고등학교 입학원서 접수 결과 전국 평균 경쟁률이 3.49대 1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학령인구 감소로 중학교 3학년 학생 수가 5% 이상 줄었는데도 지원자가 전년도 수준을 기록한 것을 두고 반도체학과의 인기가 높아지는 등 이과 선호 현상이 이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각 학교 사이트와 종로학원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7일까지 전국 20개 과학고 입학원서 접수에는 1638명 모집에 5714명이 지원해 경쟁률은 평균 3.49대 1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도 같은 규모 모집인원에 5739명이 지원해 경쟁률이 3.50대 1로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과학고 경쟁률은 2020학년도 3.51대 1에서 코로나19 기간인 2021학년도 3.17대 1, 2022학년도 3.09대 1을 기록했다가 2023학년도와 2024학년도에는 다시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서울권 2개 과학고는 4.32대 1, 인천·경기지역 3개 과학고는 5.4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학생 수가 크게 떨어졌는데도 과학고 지원자와 경쟁률은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입시업계에선 과학고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한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올해 중3 학생 수는 44만5558명으로 지난해보다 5.4% 줄었다. 특히 사회통합전형을 제외하고 일반전형 기준으로만 보면 올해 경쟁률이 3.83대 1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정부의 첨단분야 육성 정책과 상위권 대학의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의대 선호 현상 등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풀이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경쟁률이 공개된 전국 7개 영재학교의 올해 평균 경쟁률이 5.86대 1로 작년보다 떨어져서 과학고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했었다”며 “하지만 경쟁률이 지난해 수준으로 나온 것은 서울대 반도체학과 신설 등 첨단학과 육성정책으로 과고 선호 현상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홍혜진의 막전막후] 용각산을 아시나요얼마 전 50대, 60대 공무원과 20대, 30대 실무진이 모여 이야기하는 자리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한 50대 간부가 '은색 통에 담긴 용각산'을 언급했다. 나이 지긋한 공무원들은 모두 자연스러운 반응을 보이며 대화를 이어갔다. 반면 2030 실무진은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으며 고개를 갸우뚱했다. 그리고 그중 한 명이 물었다. '용각산이 뭔가요?' 용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0대 어머니와 50대 딸, 저녁 먹고 유언장 썼습니다[살아서 준비해야 할 죽음 이야기] 죽을 때까지 고쳐 쓰게 될 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구속하라' 노래에 충돌…이재명 출석에 욕설 난무한 수원지검 앞이 대표 지지자들은 ‘야당 탄압, 검찰 스토킹 중단!’ ‘이재명과 함께 민주주의 수호’ 등의 피켓을 들고 이 대표 응원에 나섰다. 이 대표는 지지자들 향해 한마디도 하지 않았으나, 지지자들은 이 대표가 지난 2017년 대선 당시 말했던 '나가자, 싸우자, 이기자'를 외치며 이 대표를 응원했다. 보수단체 참석자가 이 대표 지지자 진영으로 들어가자 한 이 대표 지지자와 욕설과 몸싸움이 오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얼어붙은 대기업 취업시장···대기업 10곳 중 6곳, 하반기 신규채용 없거나 계획 미정전경련, 매출 500대 기업 대상 조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39년만에 최악 물폭탄 … 홍콩 '셧다운'시간당 160㎜ 내려 흑색 경보곳곳 침수·사상자 100명 육박기반시설 피해로 1억弗 손실증시 폐장·모든 학교 휴교령인근 '中실리콘밸리' 선전도71년만에 최대 폭우로 마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