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파업, '목소리 낼 권리'에 대한 존중 프랑스 시위 연금개혁 파업 이주리 기자
설을 맞아 프랑스에 있는 친구와 새해 인사를 나누었다. 별일 없냐고 물었더니"프랑스는 파업이야"라고 답했다. 어린 딸이 있는 친구는 지하철, 어린이집 모두 파업이라서 아내와 돌아가면서 아이를 돌보기로 했다고 한다.
14년 전 어학연수로 프랑스에 갔을 때 처음 들었던 단어는 바로 '파업'이다. 도착하자마자 지하철을 타고 기숙사로 가야 했던 나에게 지하철의 승무원이 한 말은,"Le métro est en grève!"이었다. '지하철'과 '이다' 동사까지 이해하였지만 저 grève이란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여 찾아보니 '파업'이라는 뜻이었다. 그렇게 한국에서 낯설게만 느껴졌던 '파업'이라는 단어는 프랑스 생활 내내 나의 일부가 되었다. 프랑스에서 지난 19일부터 정년을 연장하는 연금 개혁에 반대하는 파업이 전국적으로 벌어졌다. 프랑스의 주요 노동조합이 연합하여 지하철·철도·항공은 물론이고학교, 방송국, 정유업계 등이 파업에 참여했다. 교통 노선은 축소되고, 교사가 출근하지 않아 어린이집과 학교는 문을 닫았다. "닫았으면 닫은 거죠. 전 그들을 내버려 둘 거예요. 제가 가서 '마음에 안 들어요'라고 하면서 귀찮게 하지도 않을 거예요. 아니요. 안 그럴 거예요. 그게 그들의 권리니까요."한국에서도 지난 20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장애인권리예산 확보를 위한 장애인 시위가 있었다. 지하철 탑승 시위였다. 지하철 탑승 시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는데, 특히나 새해 출근길에 시위 때문에 지하철이 지연돼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내 주변에도 이 시위에 대해 비난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듯했다. 시민을 인질로 잡고 시위하는 건 안된다는 것이다. 나는"무슨 말을 하고 싶길래 시위를 할까?"하는 궁금증이 들었다. 연금개혁 반대 파업과, 장애인 권리를 위한 시위를 동일하게 비교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시위에 대한 반응을 보며 프랑스 사람이 가지고 있는 불편함보다는 권리를 우선하는 태도,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길래 모든 국민에게 불편함을 감수하게 해서라도 내 이야기를 들어달라고 하는지, 그 내용에 관심을 기울이는 태도가 떠올랐다.프랑스 리옹에서 인턴하던 시절, 동료끼리 주말에 무엇을 할지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한 동료가 주말 동안 북쪽 고향에 올라가기로 했단다. '친구들이랑 놀거나 가족과 약속이 있는가 보다'라고 지레짐작하다 왜 올라가냐고 물어봤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23년은 변화의 해? LGBTQ는 ‘올해도 투쟁 중’성소수자 권리 보장 측면에서 볼 때 지난해 세계는 일부 진전했다. 동성혼을 합법화한 국가가 30개국을 넘어섰으며, 동성 성관계를 비범죄화하려는 경향이 일었다. 올해도 긍정적인 변화가 이어질 수 있을까. 2023년 지구촌 성소수자 투쟁 ‘핫스폿’을 소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슬기로운 설날 생활]② “취업·결혼 언제 할래?”…‘명절 조언’ 잔소리 아닌 덕담 되려면?■ '설이 두렵다, 벌써부터 짜증이'…집안 어른 '명절 잔소리'에 넋 나가는 2030 '설이 다가오니까 짜증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암의 아들' 이 남자, 설날 장사 금강급 제패…16번째 꽃가마 | 중앙일보이 선수, 황소 트로피를 품에 안았습니다.\r최정만 설날 씨름 금강장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신수의 언행... 소신과 제 식구 감싸기는 다르다추신수의 언행... 소신과 제 식구 감싸기는 다르다 추신수 안우진 이준목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기현 “여성 민방위훈련은 생존교육”, 안철수 “윤 UAE 국빈방문, 국익 크게 기여”국민의힘 3·8 전당대회에 나서는 김기현, 안철수 의원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각각 ‘여성 민방위 훈련은 평화를 지키기 위한 필수 생존교육입니다’, ‘대통령의 외교를 평가하는 기준은 국익이어야 합니다’는 글을 올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