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한샘의 맥주실록] 수도원을 살린 오르발 트라피스트 맥주 1부
문득 구글 지도를 들여다보니 어느덧 프랑스 국경이 가까웠다. 오늘 방문하는 수도원은 벨기에 남쪽 지역 왈로니아에 있다. 벨기에는 크게 두 개의 언어권으로 구분된다. 네덜란드어권 플랑드르와 프랑스어권 왈로니아다. 수도 브뤼셀에서는 중간에 있는 위치가 의미하듯 두 언어가 통용된다.
반지를 빠트린 여인은 토스카나의 마틸다였다. 그녀는 중세 유럽을 뒤흔든 '카노사의 굴욕'의 중심에 있었던 최고의 여장부였다. 두 번의 결혼식을 올렸던 마틸다가 누구의 반지를 잃어버렸던 건지 쓸데없는 호기심이 발동했다. 오르발 수도원이 자신들의 초기 흔적을 1070년으로 소개하는 것으로 보아 반지의 주인공은 첫 결혼 상대였던 고드프리트가 아니었을까? 마틸다의 전설이 사실인지 확실치 않지만, 오르발 수도원의 역사는 10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탈리아 칼리브리아에서 온 베네딕도회 수도사들이 이곳에 정착하며 수도원을 건립했다. 1124년 각고 끝에 수도원을 완성했지만 재정 문제로 지속적인 운영이 힘들었다.
그러나 유럽 대륙을 초토화시킨 30년 전쟁을 비껴갈 수 없었다. 1637년 프랑스 용병들의 약탈은 수도원을 존폐의 기로에 놓이게 했다. 간신히 위기를 넘긴 후, 1668년 수도원장으로 새로 부임한 샤를 드 벤제라드는 오르발 수도원을 시토회에서 트라피스트회로 바꾸며 개혁을 이끌었다. 이때 오르발 수도원이 생존할 수 있었던 건 대장간 때문이었다. 수도원 내 허가된 대장간이 지역 철강 산업을 견인하며 수도원 공동체를 경제적으로 안정시켰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학로 일대 흉기 들고 배회한 60대 남성 긴급체포젯밤 서울 대학로 일대와 혜화역 주변에서 흉기를 들고 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생각] 전쟁과 혁명에서 피어난 근대 헌법영국 역사학자의 독창적인 주장 전쟁·혁명이 헌법 제정·확산 이끌어 국가의 동원과 남성 참정권 교환 미국부터 아이티까지, 전 세계 탐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페미니스트인 나는 '바비'의 성공이 기쁘지 않다[양민영의 한 솔로] 영화 와 모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동관 ‘과거 윤석열 비판’ 질의에 “태도가 아니라 상황이 바뀐 것…전혀 부끄럽지 않다”[이동관 청문회]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18일 과거 한 종합편성채널에 출연해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석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정애의 시시각각] 혁신안, 혁신적이지 않다이걸 보며 한때 우리 진보 진영에도 영감을 줬던 영국 노동당과 당수였던 제러미 코빈이 떠올랐다. 1980년대 이전엔 원내노동당-노조-지역당원의 투표 비중이 각각 같았다. 영국 노동당의 사례를 길게 인용한 건, ‘당원 민주주의’ ‘정당 민주화’가 아름다운 말이나, 현실에서도 그런 건 아니란 얘기를 하기 위해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