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21] 포토스퀘어 폐지 수거 노인에게 정당한 대가 사회적기업 ‘러블리페이퍼’
폐지 수거 노인에게 정당한 대가 사회적기업 ‘러블리페이퍼’ 기우진 러블리페이퍼 대표가 종이가죽으로 만든 노트북 가방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인천시 부평구의 폐지를 수집하는 어르신들은 어디에 가면 골판지 상자를 제일 비싸게 쳐주는지를 안다. 사회적기업 러블리페이퍼는 폐지 수거 노인들이 가져온 폐지를 시중보다 두세 배 많이 쳐준다. 주변 어르신들은 러블리페이퍼에서 특별하게 요구하는 두껍고 촘촘한 폐상자를 소중하게 모았다가 이곳으로 가져간다. 기우진 대표는 2017년 폐지 수거 노인들의 노동에 정당한 대가를 치르는 것을 목적으로 러블리페이퍼를 설립했다. 기 대표는 폐종이나 폐상자를 시세보다 비싼 가격으로 매입하고 새활용 과정을 거쳐 재생지로 만든 캔버스에 그린 그림, 자체 가공한 종이가죽으로 만든 카드지갑, 노트북가방 등 다양한 공예품을 만든다. 그 판매 수익금으로 노인들을 정직원으로 고용한다. 킬로그램당 50~100원 하는 폐상자가 저울에 올려져 있다.
재능기부 작가가 종이가죽으로 만든 공예품은 온·오프라인에서 판매된다. 폐상자를 이용한 새활용과 이익 창출 과정은 이렇다. 폐상자에 천을 붙여 캔버스를 만든다. 캔버스를 협약한 재능기부 작가 350여 명에게 보낸다. 작가들은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거나 캘리그래피를 담아 회사로 다시 보낸다. 이들 작품은 누리집 정기구독을 통해 판매된다. 월 1만~3만원의 회비를 내면 금액에 따라 1년에 작품 4~12개를 받아보는 식이다. 현재 구독자는 400명에 이른다. 기업이나 학교를 대상으로 한 외부 활동도 수익의 큰 몫을 차지한다. 대표가 직접 회사 소개를 하면서 폐상자로 캔버스를 만드는 DIY 키트를 판매한다. 러블리페이퍼에 고용된 어르신은 총 11명이다. 작업시간은 월·화요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수·목요일 오후 1시부터 4시까지다. 한 달 59만원을 급여로 받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폐지 줍는 어르신 11명 정직원 채용…‘종이 가죽’의 탄생[한겨레21] 포토스퀘어 폐지 수거 노인에게 정당한 대가 사회적기업 ‘러블리페이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젊은이 앞엔 서지 않기”…공짜 지하철 타는 노인들의 규칙이란‘한국 노인 지하철 탑승의 즐거움’ 뉴욕타임즈, 다양한 노인 인터뷰 복잡한 출퇴근 시간 피하기 등 민폐끼치지 않으려는 노력도 전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걸 콩으로 만들었다고?…감쪽같은 식물성 커틀렛·분짜신세계푸드 식물성 대안식 ‘유아왓유잇’ 체험해보니 대두로 만든 양념육·햄 등 강한 소스없이 고기맛 살려 다양한 세계음식으로 탄생 식물성 가정간편식 3종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인 많아진 일본에 ‘집 앞까지 찾아가는 투표함’ 확대이동 불편한 유권자 직접 찾아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순천만 우주 불탄다…오늘 역대급 불꽃놀이, 이 기업 나선 이유두 차례 국제정원박람회를 유치한 순천시가 한화와 함께 우주산업의 미래를 열겠다는 선언적 의미가 있다고 한다. 순천, 우주발사체 단(段)조립장 유치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순천만에서 불꽃놀이를 하게 된 것은 순천시가 지난 4월 우주발사체 단(段)조립장을 유치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우주발사체 단조립장을 시작으로 순천지역 우주산업 인프라 조성에 착수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中서 반도체 기업 증산 5%로 제한 확정'…韓 요청 무산2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가 이날 공개한 반도체법 가드레일(안전장치) 규정 최종안에는 보조금을 받은 기업이 향후 10년 동안 중국 등 우려 국가에서 반도체 생산 능력을 '실질적으로 확장'하는 경우 보조금 전액을 반환하도록 했다. 앞서 지난 5월 한국 정부는 중국 내 첨단 반도체의 실질적인 확장 기준을 기존 5%에서 10%로 두배 늘려달라고 미정부에 요청했다.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반도체법은 근본적으로 국가 안보를 위한 구상'이라면서 '이번 가드레일은 우리가 글로벌 공급망 및 집단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동맹국 및 파트너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미 정부의 자금을 받는 기업들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훼손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