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지진: 거리에서 공포에 떠는 생존자들 지진이 발생한 지 한 달 후, 살아남은 사람들은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해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안전한 쉼터를 찾는 것이다.
송굴 가족은 집에서 소중한 가구를 조심히 꺼내 길에 놓았다. 광택이 나는 나무 협탁 위에는 휴가 기념품으로 사 온 튀르키예 쿠사다시 리조트의 조개껍질 그림이 있다. 커다란 과일 그릇에 놓인 오렌지에는 하얀 곰팡이가 폈다. 집 안에서는 평범해 보이던 물건이, 길거리에 놓이자 낯설게 느껴진다.제대로 된 화장실은 없지만, 욕실에서 변기를 하나 가져와 임시변통 나무 창고에 연결했다. 심지어 작은 샤워실도 만들었다. 하지만 정말 최소한만 갖춰졌고, 넓은 공간이나 사생활은 찾아보기 어렵다. 텐트 안은 비좁고 과밀 상태다.
송굴은 괴로운 한 달을 보냈다. 친척 중 17명이 지진으로 세상을 떠났고 언니 툴라이는 공식적으로 실종 상태다. "아직 잔해 아래에 있는지 없는지도 모른다"며, "발견이 됐는지 아닌지도 모른다. 그저 기다릴 뿐이다. 애도를 시작할 수도 없고 시신조차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형부 후세메틴과 11살 난 조카 로잔은 잠을 자던 중 이스켄데룬 아파트 건물이 무너지면서 숨졌다. 그 집터에 남아 있는 뒤틀린 잔해 더미를 찾아갔다. 이웃 주민은 아파트 세 단지가 무너졌다고 말했다. 송굴은 가라앉은 목소리로 "로잔의 시신을 여기로 가져왔다"고 말했다. "영안실에서 데려와 사만다그에서 우리 집 근처에 묻었다. 후세메틴은 공동묘지에 묻혔는데, 그곳에서 이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지진 사태로 인한 이재민 노숙이 매우 심각한 상태다. 안전한 공간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이다. 건물 16만 동 이상이 무너지거나 큰 손상을 입었다. 유엔개발계획은 최소 150만 명이 여전히 지진 지역에 있지만 살 곳이 없는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 수치는 확인이 어렵고 추정치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
캐빈 시설이 도착 중이지만 제공되는 속도가 너무 느리다. 대규모 새 캠프부터 잔해 사이에 흩어진 개별 캠프까지, 모든 곳에 텐트가 세워졌지만 아직 부족하다. 튀르키예 적신월사는 세금으로 구입한 텐트 중 일부를 자선 단체에 판매했다. 제값을 받고 판 것이긴 하지만 국민들의 좌절과 분노를 불러일으켰다.아다나 지역에서는 배구 경기장 매트리스 위에서 가족들이 담요를 덮고 잠들어 있었다. 항구 도시 이스켄데룬에서는 기차역에 놓인 두 차량이 거주 시설로 바뀌었다. 좌석은 침대가 됐고, 짐칸에는 개인 소지품으로 채워졌다.송굴의 아이들도 지쳤다. 장난감과 게임 도구는 안전이 위태로운 집 안에 파묻혔고, 학교는 사라졌다.밤이 되면 상황은 더욱 어려워진다. 지금 사만다그에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다. 송굴은 유엔난민기구 로고가 새겨진 흰 텐트 곳곳에 형형색색의 태양광 조명을 걸었다. 길거리로 밀려난 그들은 여전히 조국에 발붙이고 살지만 여전히 모든 것을 잃은 상태다.
남편 사바스는 "우리는 자유로운 사람들이다. 자유와 독립에 익숙하고 모두 자신의 집에서 살고 있었다"며 "하지만 이제 세 가족이 텐트 하나에서 식사하고, 생활하고, 머무른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스브스夜] '그알' 튀르키예 대지진, 천재지변 아닌 인재…건물 더미 속에 묻힌 진실 '추적'[SBS연예뉴스 | 김효정 에디터] 튀르키예 대지진은 천재지변일까, 인재일까? 4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는 '붕괴된 경고 - 튀르키예 대지진의 비밀'라는 부제로 튀르키예 지진을 조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엔, 국제해양조약 '역사적 합의' 이뤘다 - BBC News 코리아유엔, 국제해양조약 '역사적 합의' 이뤘다 조약은 2030년까지 공해의 30%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프간 여기자가 주 72시간 공장에서 일하게 된 사연 - BBC News 코리아아프간: 탈레반을 피해 떠난 여기자의 삶은 어떻게 변했을까 망명한 여성 언론인 대부분은 커리어가 단절되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녀를 원치 않는 중국의 여성들 - BBC News 코리아저출산: 자녀를 원치 않는 중국 여성들, 이유는? 한자녀 또는 무자녀를 희망하는 중국 여성이 증가 중이다. BBC는 중국 여성 세 명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