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인상을 자제하면서 '밑지는 장사'를 하는 방식으로 국민이 지출해야 할 비용이 미래 세대에 계속 전가되는 문제.
공공요금 과 밀접한 5대 인프라 공기업 의 총 부채 규모가 320조원을 돌파했다. 정부가 장기간 공공요금 인상을 막으며 ‘밑지는 장사’를 하게 해서다.
두 공기업은 빚 돌려막기를 하게 된 모양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지난 5월1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계에 봉착했다”고 호소했다. 엿새 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도 기자들을 만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고 했다.이렇게 된 주요 원인으로 문재인 정부 시절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의 인상 요인이 발생했는데도 서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요금을 인위적으로 묶어둔 게 지목된다. 감사원은 지난해 10월 ‘공공기관 재무건전성 및 경영관리 실태’ 감사보고서를 통해 “2021년 이후 에너지 가격 상승 국면에서 전기·가스요금 조정이 지연됨에 따라 공기업이 전기·가스를 공급하고서도 이에 소요된 연료비 등 원가를 회수하지 못 한 데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김미루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필요한 공공요금 인상을 미루면 현재 세대가 감당해야 할 부담을 미래 세대에 떠넘기는 셈인 게 큰 문제”라며 “적정 수준보다 싼 요금에 따라 전기·가스를 과소비하게 하는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기의 경우 한국의 전력소비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4위로 높다.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저렴한 전기요금 때문으로 풀이된다.현 정부도 비판의 화살을 피하기 어렵다. 전기·가스 요금 인상만 신경쓰고 나머지 고속도로·철도·상수도 요금은 사실상 외면하고 있어서다. 3가지 요금에 대해 문 정부는 물론 윤 정부 들어서도 인상 필요성을 회피하며 미래 세대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를 키우고 있다는 이야기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00원에 사서 64원에 판다…한전 등 5곳 320조 '부채 부메랑'이렇게 된 주요 원인으로 문재인 정부 시절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의 인상 요인이 발생했는데도 서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요금을 인위적으로 묶어둔 게 지목된다. 감사원은 지난해 10월 ‘공공기관 재무건전성 및 경영관리 실태’ 감사보고서를 통해 '2021년 이후 에너지 가격 상승 국면에서 전기·가스요금 조정이 지연됨에 따라 공기업이 전기·가스를 공급하고서도 이에 소요된 연료비 등 원가를 회수하지 못 한 데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이블리, 상반기 거래액 1조 원 돌파…여성 패션플랫폼 1위패션 이어 뷰티·라이프 성장세 가팔라 연 거래액 2조 돌파 예상…역대 최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 4.3조 저리대출 'ABC' 육성…국방예산은 60조 첫 돌파R&D·국방예산 대폭 증액AI 혁신펀드 신규 조성하고암 프로젝트에 700억 투입원전·방산·콘텐츠 수출 뒷받침병장 월급 205만원으로 늘리고초급 간부 주거예산 50% 증액킬체인 전력 증강 등 집중 편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월 첫거래일부터 와르르…‘AI 대장주’ 엔비디아 10% 빠졌다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급락 경기침체 우려 재점화·빅테크 투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동연,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 선제적 추진생활 인프라 확충, 교통 인프라 개선, 공공기관 이전, 투자유치 등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택 공급대책 ‘구원투수’ LH…향후 4년간 부채 62조 는다정부가 35개 주요 공공기관의 재무관리에 고삐를 바짝 조인 가운데, 주택 공급대책의 ‘구원투수’로 나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부채비율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4~2028년 공공기관 중장기재무관리계획’을 보면, 중장기 재무관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