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유 노 킴스 비디오(Do you know Kim’s video)?'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서 시작된 이 질문은, 이탈리아 살레미까지 이어진다. 이곳 단골이던 데이비드 레드먼, 애슐리 사빈 부부가 6년을 촬영해 만든 다큐멘터리 영화 ‘킴스 비디오’는 사라진 비디오들의 행방을 뒤쫓는 한편, 한때 이스트 빌리지 비디오 왕국의 군주였던 김 대표의 이야기를 캔다. 비디오 가게를 둘러싼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이야기는 27일 국내 극장에 걸리게 됐다.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서 시작된 이 질문은, 이탈리아 살레미까지 이어진다. 영화 ‘킴스 비디오’의 한 장면이다. 킴스 비디오는 뉴욕에 있던 비디오 대여점이다. 1986년 개업해 5만5000편의 방대한 컬렉션을 갖고 25만 명의 회원에게 영화를 빌려줬다. 11개 체인점에 300명의 직원을 거느릴 정도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스코세이지·타란티노 감독이 회원이었고, 코엔 형제의 600달러 연체료도 화제였다. ‘보물상자’ ‘금광’이라 불렸지만 디지털 시대를 맞아 급격히 몰락한다. 김용만 대표는 2014년 폐업 선언을 한다. 이때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김 대표는 “나는 패배자다. 그저 잊히고 싶다”고 말했다.이곳 단골이던 데이비드 레드먼, 애슐리 사빈 부부가 6년을 촬영해 만든 다큐멘터리 영화 ‘킴스 비디오’는 사라진 비디오들의 행방을 뒤쫓는 한편, 한때 이스트 빌리지 비디오 왕국의 군주였던 김 대표의 이야기를 캔다.
그러나 2017년 찾아간 두 감독은 습기 찬 건물에 아무렇게나 방치된 비디오 더미를 확인했다.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보다 못한 두 감독은 2만5000여점을 훔쳐 미국으로 가져온다. 수소문 끝에 새로운 인수자도 찾았다. 돌아온 ‘킴스 비디오’는 지난해 뉴욕 알라모 드래프트하우스 극장에 자리 잡고 다시 문을 열었다. 살레미 시와도 문제를 풀어 지난해부터 시칠리아 섬의 야외극장에서 ‘시네킴 영화제’를 열고 있다.넷플릭스도 비디오 대여점에서 시작했다. 왜 킴스 비디오는 넷플릭스가 되지 못했을까.“킴스 비디오는 2004년 인터넷 사업을 시작했지만 디지털 부서에 들어가는 돈이 감당이 안 됐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을 4년 하다가 포기했다. 내 주머니에서 나오는 제한된 자금으로는 큰 규모의 사업 경쟁에서 어렵다는 것을 너무 늦게 알았다.” 왜 영화였나.“8살 때 고향 군산에서 본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스’가 내 인생 첫 영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넷플릭스에 시청자 빼앗긴 미국 TV '믿을 건 60대 이상'미국 지상파 프로그램들도 방영 시간대 옮기고 옛 프로그램 부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도 대단한 사람이 되었네'지역 생방송에 출연한 말랭이마을 사람들의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070 전화 때문에 이틀 밤을... 그래도 말짱했습니다맥주의 시선으로 알아보는 세계 역사 이야기 을 펴내기까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어코 바다로 뛰어든 어머니, 자식은 오늘도 두렵다[더 인천] 바다, 물고기, 사람에 관한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행 겪은 '금강역사영화제' 속히 재개돼야'이가령 아트교담 대표에게 듣는 김대현 감독(전 금강역사영화제 집행위원장)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