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스크 앞 고령층·장애인···작동법보다 ‘이 상황’ 더 식은땀 흐른다

키오스크 앞 고령층·장애인···작동법보다 ‘이 상황’ 더 식은땀 흐른다 뉴스

키오스크 앞 고령층·장애인···작동법보다 ‘이 상황’ 더 식은땀 흐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1%

무인단말기(키오스크) 급증에 따라 관련 교육 등이 도입되면서 디지털 약자의 관련 기기 이용 경험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령층·장애인들은 작동 방법보다는 “뒷사람 ...

지난 3월 서울 청량리 롯데시네마에서 시니어 키오스크 안내 도우미가 손님의 키오스크 사용을 도와주고 있다. 우철훈 선임기자

무인단말기 급증에 따라 관련 교육 등이 도입되면서 디지털 약자의 관련 기기 이용 경험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령층·장애인들은 작동 방법보다는 “뒷사람 눈치” 등으로 여전히 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서울디지털재단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 서울시민디지털역량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 550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10명 중 8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총 81.7% 수준으로, 앞서 2021년 실시한 조사보다 4.8%포인트 상승한 결과다. 고령층과 장애인은 각각 57.1%, 58.9%가 키오스크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키오스크 이용 중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었냐는 질문에는 고령층은 59.6%, 장애인은 60.9%가 ‘있다’고 응답했다.키오스크 이용 경험과 달리 ‘민간 인증서’, ‘유료 OTT 서비스’, ‘스마트 예약’ 이용 경험률은 고령층과 전체 시민 간 최소 2배에서 최대 5배 이상 차이가 났다.

최근 사용량이 늘고 있는 생성형 AI의 경우 서울시민 55.3%는 알고 있고, 15.4%는 사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령층과 장애인의 경우, 생성형 AI를 알고 있는 비율은 각각 24.1%, 25.9%이며, 사용해 본 경험은 2.3%, 5.6%에 불과했다.서울시는 디지털 교육 및 상담을 제공하는 사업인 ‘디지털동행플라자’를 현재 운영 중인 서남센터, 서북센터를 포함해 2026년까지 총 6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하반기부터는 서울 곳곳을 찾아가는 ‘디지털 돌봄 체험 버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2대 1호 법안 ‘장애인 이동권 보장법’...시각장애인 서미화 의원, 야4당 손잡고 발의22대 1호 법안 ‘장애인 이동권 보장법’...시각장애인 서미화 의원, 야4당 손잡고 발의의안과 앞 3박4일 밤샘 대기...장애인 이동권 ‘편의’ 제한적 규정한 법안 전면 개정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령층 키오스크 사용 늘었지만…모바일앱 사용은 여전히 저조고령층 키오스크 사용 늘었지만…모바일앱 사용은 여전히 저조(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만 55세 이상 고령층 57.1%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등 키오스크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조사 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각장애인 손님이 '헤어스타일'을 고르는 방법시각장애인 손님이 '헤어스타일'을 고르는 방법[인터뷰] 장애인 전용 미용실 '헤어카페 더 휴' 윤순임 실장 "그냥 똑같은 미용이에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페에 접수된 컴플레인... 그 일이 떠올랐다카페에 접수된 컴플레인... 그 일이 떠올랐다어르신들의 키오스크 사용 어려움은 당연... 깨달으니 더 노력하게 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 지적장애 맞다니까”...IQ 65점 남성 행정소송 승리“나 지적장애 맞다니까”...IQ 65점 남성 행정소송 승리법원 “사회 적응 어려운 장애인 해당” 국민연금공단 심사결과 번복 ‘이례적’ 부천시, 항소 포기·장애인 등록하기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산시의회 전국 최초 ‘학교 앞 문구점 살리기 조례’ 추진부산시의회 전국 최초 ‘학교 앞 문구점 살리기 조례’ 추진초등학교 앞 문구점을 살리기 위한 조례 제정이 부산시의회에서 추진된다. 부산시의회 교육위원회는 지난 5일 배영숙 의원(부산진구4·국민의힘)이 발의한 ‘부산시교육청 학습준비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4 02:0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