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의 모든 현역 의원들이 18일 광주에서 열리는 제43회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기로 하자 야당은 5‧18 망언을 일삼은 이들의 조치와 윤 대통령의 헌법전문 수록 약속 이행부터 하라고 촉구했다.이철규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지난 9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통합 행보로 5월 18일 국민의힘은 광주에서 현장 최고회의를 개최하고 이어서 5.18 민주화운동기념식에 우리 의원들 모두가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같은 당의 장예찬 최고위원은 17일 오전 CBS 라디오 에 출연해 이번 기념식에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의힘의 모든 현역 의원들이 18일 광주에서 열리는 제43회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기로 하자 야당은 5‧18 망언을 일삼은 이들의 조치와 윤 대통령의 헌법전문 수록 약속 이행부터 하라고 반박했다.이철규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지난 9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통합 행보로 5월 18일 국민의힘은 광주에서 현장 최고회의를 개최하고 이어서 5.18 민주화운동기념식에 우리 의원들 모두가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5‧18항쟁 43주년 기념식에 대한 정부 여당의 관심에도 그동안 5‧18 폄훼 발언을 한 이들의 엄정 조치와 5‧18 정신의 헌법전문 수록 약속 이행이 우선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 대표는 “어려운 일도 아니다”라며 “5‧18 민주화운동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을 반드시 내년 총선에 맞춰서 할 수 있도록 정부 여당이 협조해주시기를 부탁드리고 공식적으로 제안 드린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5‧18 행사에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모두 참석하는 것을 두고 “그것이 보여줄 수 있는 힘보다 원포인트 개헌을 통해서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것이 진정성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며 “굳이 한 마디를 덧붙인다면 5‧18을 아직도 왜곡하고 폄하하고 훼손하는 반역사적, 반민주적 망언에 대해 단호하게 조치하는 엄정함도 보여달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용산 따라 ‘간호법 반대’ 복창…복지장관 말 뒤집기 자가당착복지부가 여당과 대통령실의 간호법 반대 기조에 발맞추느라 법에 대한 일관된 해석을 내리지 못하고 우왕좌왕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계자…관계자…관계자…관행적 익명 보도 끊어야 산다국내언론의 익명보도 관행은 어제오늘 지적된 게 아니다. 무절제한 ‘관계자’ 인용이 언론 정파성을 강화하고 검찰 의존성을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수년째 반복되지만 아직 현장은 그만한 고민을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현장 기자들은 실명보도에 대한 구조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언론뿐 아니라 사회도 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실적시 명예훼손, 언론의 취약한 사회적 지위 등 익명보도 근절은 공동체가 함께 노력해야 할 과제라는 것이다.세월호 참사 당시 익명을 인용한 대형 오보로 언론의 관행적 익명 사용이 도마 위에 올랐다. 참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시 국민의힘에 드리워진 ‘전광훈 목사’의 그림자4월29일 태극기와 성조기, ‘자유마을’ 깃발이 나부끼는 집회에 국민의힘이 소환됐다.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열린 ‘주사파 척결 광화문 국민대회’ 참가자들은 “국민의힘 책임당원에 가입해 대한민국 개조의 선봉에 선다”라고 선언했다. 한 참가자는 ‘전광훈 목사 건드리면 국민의힘 끝장난다’라고 적힌 현수막을 들고 광화문 거리를 오갔다.연단에 오른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는 거침없이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대한 자신의 영향력을 과시했다. 전 목사는 윤석열 대통령을 “우리 광화문이 만들었다”라고 했다. 국민의힘을 비판하면서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재인, 퇴임 후 첫 5·18 참배…'5·18에 큰 빚 져' | 연합뉴스(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문재인 전 대통령이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재인 전 대통령 “5·18은 민주주의 뿌리”…퇴임 후 첫 참배문재인 전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하루 전인 17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오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