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터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과 첫 만남

사회 뉴스

카터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과 첫 만남
김대중지미 카터연세대 김대중도서관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46 sec. here
  • 10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0%
  • Publisher: 53%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에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신 및 첫 회동 녹취록을 공개했습니다. 두 대통령은 1983년 애틀란타에서 만났으며 카터 전 대통령은 김 전 대통령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1983년 3월 30일 애틀란타의 에모리대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처음으로 만났다. 카터 전 대통령은 환영사를 통해 대한민국에서 민주주의 로 향한 진보가 야당의 노력에 의해 증진되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사진 연세대 김대중 도서관 지난달 29일 별세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83년 주고받은 서신과 첫 회동 당시 음성자료가 공개됐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전두환 신군부 치하에서 핍박을 받아 82년 12월부터 미국에서 망명 생활 중이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신군부 정권으로부터 사형 선고를 받은 김 전 대통령 구명을 위해 외교·정치적으로 노력한 인연이 있다. 7일 연세대 김대중 도서관은 카터 전 대통령이 83년 2월 26일 김 전 대통령에게 친필로 작성한 편지를 공개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번 주에 만나 뵙지 못해 매우 유감”이라며 “가능한 이른 시일 내에 다시 일정을 조율해 만나 뵙기를 기대한다”고 적었다.

7일 연세대 김대중 도서관은 1983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주고 받은 친필 서신과 회동 녹취록 등 사료를 공개했다. 사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카터 전 대통령의 바람대로 두 사람은 한 달 여 뒤인 3월 30일 애틀란타의 에모리대에서 처음으로 만났다. 카터 전 대통령은 환영사를 통해 “대한민국에서 민주주의로 향한 진보가 현재 공적인 자리를 맡은 정치 지도자뿐 아니라 야당의 노력으로 증진되었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군부정권으로부터 민주화를 이루기 위해 행동한 김 전 대통령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미국과 지구 위의 다른 나라들에서 앞으로 기본권과 자유를 향한 더 큰 진보를 이룰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공개된 2분 분량의 회동 음성자료에는 김 전 대통령이 “당신의 인권 정책을 존경했다”고 말하자, 카터 전 대통령은 “전 세계적으로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 그리고 민주주의에 대한 강한 헌신에 매우 관심이 많다. 저를 찾아와 주셔서 매우 감사하다”고 화답한 내용도 담겼다. 음성 자료는 도서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들을 수 있다. 첫 대면 이후 두 사람은 유대를 강화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 김 전 대통령의 안전한 귀국을 위해 지원했다. 94년 북한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탈퇴로 불거진 ‘1차 북핵 위기’ 때에도 카터 전 대통령은 빌 클린턴 당시 대통령 특사로 방북해 북미 제네바 합의에 기여했다. 이는 당시 야인 신분이던 김 전 대통령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연세대 김대중 도서관 관계자는 “해당 사료는 두 지도자가 보여준 국제적 연대와 민주주의, 인권 평화를 위한 헌신을 상징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오는 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대성당에서 카터 전 대통령의 국가 장례식이 엄수된다. 이찬규 기자 [email protected]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김대중 지미 카터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첫 만남 서신 회동 음성자료 민주주의 인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지미 카터 전 미 대통령 별세지미 카터 전 미 대통령 별세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별세했습니다. 카터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국제 평화 활동을 통해 '성공한 전직 대통령'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군방첩사령관, 계엄 전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장관 만남 후 '반국가세력 수사본부 편성' 메모 남기자국군방첩사령관, 계엄 전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장관 만남 후 '반국가세력 수사본부 편성' 메모 남기자검찰은 '12·3 내란사태' 연루 국군방첩사령관이 계엄 전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장관을 만난 후 '반국가세력·부정선거 수사본부 편성' 등의 메모를 적은 것으로 확인,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장관의 지시로 이루어진 행위라고 의심하고 있다. 다만 여 사령관 측은 '단순 구상'이라고 입장을 밝히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39대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 전 대통령 별세제39대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 전 대통령 별세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엔 경제·안보적 어려움에 직면하며 재선에도 실패했다. 퇴임 이후 평화 해결사로 활약하며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등 ‘가장 위대한 전직 대통령’이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도 깊은 인연을 갖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39대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 전 대통령 별세제39대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 전 대통령 별세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100세를 일기로 별세했습니다. 퇴임 후 평화 중재와 자선 활동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퇴임 후가 더 빛난 美 최장수 대통령 지미 카터 100세로 타계퇴임 후가 더 빛난 美 최장수 대통령 지미 카터 100세로 타계미국 유력 언론사들은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별세를 애도하며 그의 삶과 업적을 평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터, 한국 인권 진보를 위한 도덕외교카터, 한국 인권 진보를 위한 도덕외교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박정희에게 인권 개선을 촉구하며 한국 민주화에 기여한 역할을 강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19:5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