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16일, 미국 방문을 앞둔 경제사절단과 만나 한·미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확대되는 관세 부과 등 통상 정책 변화에 대응하고 기회를 발굴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저녁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간 경제사절단 만찬간담회’에서 참석자들에게 발언을 했습니다. 이날 만찬간담회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등과 만남을 앞둔 경제사절단 을 위한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만찬 간담회에서 이번 경제사절단 방문이 미국 신정부와의 협력 기회 발굴에 기여하길 당부했습니다. 그는 특히,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철강·알루미늄 추가 관세 및 상호 관세 부과 계획 등이 연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과 정부가 국익을 위한 종합적인 대응을 통해 통상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변화 속에는 기회가 숨어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긍정적인 시각을 보여주었습니다.
최 권한대행의 당부에 따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을 포함한 재계 측은 한·미 간의 윈-윈 상황을 만들기 위한 한국의 투자 노력 등을 미국 측에 명확히 설명하고, 미국 측의 입장 등을 정부에 전달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재계 측은 또한 정부에 통상 관련 규제 완화 필요성을 건의했습니다. 최 회장과 국내 20대 그룹 총수 및 사장단으로 구성된 경제사절단은 19일부터 이틀간 미국 워싱턴을 방문하여 백악관 고위 당국자와 미국 정·재계 인사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이들은 관세를 비롯한 통상 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한·미 양국 간 전략적 협력 의제와 대미 투자 협력 계획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崔대행 '이른 시일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추진'(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이른 시일 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미국 관세 조치 확대 가능성…미국 신정부 인사와 적극 소통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의 관세 조치와 각국의 대응이 이어질 경우, 향후 유럽연합(EU) 등으로 미 관세 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합참 지휘통제실 방문 '사기 진작' 당부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12·3 비상계엄 당시 본부 역할을 했던 합참 지휘통제실을 방문하여 군 장병들에게 위축되지 않고 임무에 매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최 대행의 방문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로 이어진 계엄 사태의 본부 격이었던 합참 지휘통제실에서 이루어졌는데, 군의 사기 진작과 대비태세 정상화 조치가 시급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설연휴 응급의료체계 안정 유지 당부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설 연휴를 앞두고 응급 의료 시스템 안정 유지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고위험 산모, 신생아 진료·이송, 야간 소아 진료, 심뇌혈관 질환, 수지 접합, 급성 복증 등 특수 질환 진료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권한대행, 대전 초등학생 사망 사건에 '교육부 철저 조사' 당부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사망 사건에 대해 교육부와 관계기관에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고, 다시는 이와 같은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학교는 가장 안전해야 할 공간이기에 이번 사건은 특히 안타까우며, 신학기를 앞두고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점검을 강조했다. 또한, 연금개혁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국회에 하루 속히 합의안을 도출해 줄 것을 바란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미 상호관세 영향 '예의주시' -비관세 장벽 대비 강화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 각서에 서명한 것에 따라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이 관세뿐 아니라 부가가치세, 디지털서비스세 등 비관세 장벽까지 포함해 평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