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기준 중위소득 3년 연속 인상…R&D 투자 대폭 확대”

최상목 뉴스

최상목 “기준 중위소득 3년 연속 인상…R&D 투자 대폭 확대”
R&D예산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7 sec. here
  • 4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1%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우리 사회의 가장 어려운 분들을 위해 기준 중위소득을 3년 연속 인상해 기초생활제도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기준 중위소득은 모든...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우리 사회의 가장 어려운 분들을 위해 기준 중위소득을 3년 연속 인상해 기초생활제도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기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해당하는 값에 여러 경제지표를 반영해 산정하는 것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해 74개 정부 복지사업의 선정 기준 등에 활용된다.

그는 “1000만 어르신 시대에 맞춰 노인 일자리와 복지, 주택을 확대하겠다”며 “장애인·한부모·취약아동에 대한 맞춤형 보호를 강화하고,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통한 도약과 교육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R&D 예산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최상목 '기준 중위소득 3년 연속 최대 인상…R&D 선도형 개편'최상목 '기준 중위소득 3년 연속 최대 인상…R&D 선도형 개편'(서울=연합뉴스) 홍지인 조다운 기자=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내년도 예산안의 4대 투자 중점은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6.42% 인상...1인 가구 239만2013원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6.42% 인상...1인 가구 239만2013원기초생활보장제도 등 각종 복지사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내년도에는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572만 9913원 대비 6.42% 인상된 609만 7773원으로 결정됐다.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를 포함한 전체 수급가구의 약 74%를 차지하는 1인 가구 기준으로는 올해 222만 8445원 대비 7.34% 인상된 239만 2013원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준 중위소득 역대최대 6.42% 인상…생계급여 7만명 추가 혜택(종합2보)기준 중위소득 역대최대 6.42% 인상…생계급여 7만명 추가 혜택(종합2보)(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기초생활보장제도 등 각종 복지사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내년도 4인 가구 기준 6.42% 오른 6...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약자복지' 강조하는데…복지 기준선 '중위소득' 얼마나 오를까'약자복지' 강조하는데…복지 기준선 '중위소득' 얼마나 오를까(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각종 복지 제도의 기준선이 될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25일 결정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6.42% 인상... 3년 연속 역대 최대''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6.42% 인상... 3년 연속 역대 최대'기초생활보장제도 등 각종 복지사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내년도에는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572만9913원 대비 6.42% 인상된 609만7773원으로 결정됐다.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를 포함한 전체 수급가구의 약 74%를 차지하는 1인 가구 기준으로는 올해 222만8445원 대비 7.34% 인상된 239만2013원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들 작년보다 더 벌었나보네”…4인가구 중위소득 609만원, 증가폭 3년 연속 최대“다들 작년보다 더 벌었나보네”…4인가구 중위소득 609만원, 증가폭 3년 연속 최대중앙생활보장위원회 결정 6.42% 인상, 3년연속 최대 생계급여 대상 7.1만명 증가 복지확대 내년 9400억 소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2 12: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