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씻을 권리] 씻을 곳 찾기 힘든 노숙인들
노숙인을 위한 이동목욕차가 지난 7월20일 오후 서울 영등포역 고가도로 아래 쪽방촌에 서 있다. 쪽방촌 주민, 노숙인, 이동이 어려운 어르신까지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다. 백소아 기자 [email protected] 2019년 회사가 부도난 뒤 집도 절도 없이 거리로 내몰렸다. 당시 30대 후반이었던 배진우씨는 서울 서초구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에서 노숙 생활을 시작했다. 6개월만 버티려고 했던 게 1년이 지났고, 벌써 5년째다. 거리 생활이 길어진 덴 경제난 등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냄새난다고 곳곳에서 거절당하는 일이 반복되면서 떨어진 자신감도 한몫했다. ■ 편의점·식당부터 목욕탕까지 눈총 냄새가 난다는 이유로 편의점이나 식당 등 돈을 내고 들어가는 곳에서조차 환영받지 못했을 때, 그는 ‘씻어야겠다’고 다짐했다. 처음엔 공중화장실에서 씻어보려고도 했지만 눈치가 보였다. 없는 돈을 털어서라도 목욕탕을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노숙인 일시보호시설이 없어 ‘씻을 공간’이 마땅치 않은 청량리, 숭례문, 을지로입구, 고속버스터미널까지 목욕차가 다니며 생필품도 나눠주는 식이다. 올해 2월부터 8월까지 1383명이 이용했고, 1대당 일평균 이용 인원은 6.9명이다. 의류나 세면도구 등 위생을 위한 생필품은 여름이 되면 더 늘어났다. 2월에 지원된 생필품은 299개였지만, 8월엔 1092개로 늘어났다. 물론 노숙인을 위한 일시보호시설 등엔 목욕 공간이 구비돼 있지만, 입소 규칙이 까다롭거나 입소 기간이 정해진 곳이 있어 거부감을 느끼는 노숙인들도 있다. 제한이 덜한 곳엔 많은 노숙인이 머물지만, 그만큼 목욕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기도 하다. 영등포구 내 노숙인 ‘무더위 쉼터’에서 만난 40대 후반의 최아무개씨는 하던 사업이 어려워져 집을 잃고 거리로 내몰렸다. 동시에 관절염이 심해져 일용직을 하기도 힘들었다. 최씨의 다리에는 오래돼 보이는 파스가 덕지덕지 붙어 있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노숙인들 공중화장실서 씻기 눈치…목욕탕 가면 ‘냄새 난다’ 손님들 피해[씻을 권리] 씻을 곳 찾기 힘든 노숙인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염수 방류 결사 반대, 윤석열 대통령 퇴진하라'26일 대구 동성로서 퇴진촛불, 200여 명 넘는 시민들 모여 방류 규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진] 국경과 인종 넘어 음식·음악으로 하나된 홍성26일 홍성서 열린 제9회 아시아뮤직페스티벌, 1천여 명 참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년 백수' 126만명…4명 중 1명 '집에서 그냥 시간 보내'27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인구 841만6000명 가운데 재학·휴학생을 제외한 최종학교 졸업자(수료·중퇴 포함)는 452만1000명이고, 이 중 미취업자는 126만1000명이었다. 마이크로데이터로 미취업 졸업자의 세부 특성을 살펴보면, 4년제(45만1000명) 및 3년제 이하(21만5000명) 대학 졸업자가 66만6000명, 대학원 졸업 이상자가 1만2000명으로 대졸 이상자가 전체의 53.8%를 차지했다. 취업 시험 준비를 위해 학원·도서관에 다녔다는 비율은 4년제 대학 졸업자(61.2%)에게서 특히 높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3명 태우고 호주서 훈련 중 美헬기 추락…해병대원 3명 사망AFP 등 외신은 미군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이날 오전 9시 30분께 호주 본토에서 북쪽으로 약 60km 떨어진 노던 준주 멜빌섬에서 미 해병대 23명을 태운 헬기가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이 사고로 탑승하고 있던 미 해병대원 3명이 숨졌으며 나머지 20명은 부상하고 이들 중 5명은 위중한 상태로 알려졌다. 2017년에는 호주 북부 근해에서 착륙하려다가 수송선에 부딪혀 떨어지면서 미 해병대원 3명이 목숨을 잃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기도, 3000만 원 이상 고액 체납자 출국금지 추진세금 납부 안 하고 해외 도피… 작년 360억 원 체납한 285명 출국금지 조치 후 14억 징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