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심각한 사회갈등으로 인식하는 것은 진보와 보수 간 정치적 갈등입니다. 이에 대한 다양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사회갈등 중에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진보와 보수 사이의 정치적 갈등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 사회갈등 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와 시사점' 페이퍼에 따르면 '2023년 사회통합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해 사회갈등 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를 살펴본 결과 국민 10명 중 9명꼴로 여러 갈등 사안 중 정치영역에서의 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여겼습니다.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갖가지 사회갈등 유형 가운데 진보와 보수 간 정치 갈등이 매우 심각하다고 여겼지만, 여성과 남성 간의 젠더 갈등은 상대적으로 덜 심각하게 받아들였습니다. 이어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갈등(82.2%), 노사갈등 (79.1%), 빈부갈등(78.0%),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갈등(71.8%), 지역갈등(71.5%)이 심각하다는 답변도 많았습니다. 이에 반해 주택소유자와 비(非)소유자 간 갈등(60.
9%), 세대 갈등(56.0%), 다문화 갈등(54.1%), 남녀 간 성 갈등(46.6%) 등은 상대적으로 덜 심각하다고 인식했습니다. 다만 주택소유자와 비소유자간 갈등은 2018년 조사 때는 49.6%로 유형별 사회갈등 중에서 가장 낮았지만, 2023년 조사에서는 60.9%로 11.3% 포인트나 치솟아 눈길을 끌었습니다. 성인 남녀가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갈등 유형이라고 꼽은 정치 영역의 갈등은 다른 사람과의 교제 의향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지어 정치 성향이 다른 사람과는 연애나 결혼할 의향이 없는 사람도 58.2%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을 훌쩍 넘었습니다. 집단별로는 여성, 노년층, 중졸 이하, 소득 최하위 집단, 주관적 소득계층이 낮은 집단에서 정치 성향이 다른 사람과 술자리, 연애 및 결혼,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같이할 의향이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향후 한국 사회의 사회갈등 전망에 대해서는 65.09%가 지금과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했고, 지금보다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보는 사람도 28.25%였습니다.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6.66%에 불과했습니다. 10년 후 우리 사회에서 심각해질 사회갈등 유형과 관련해서는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 87.66%로 1위에 올랐고, 빈부갈등(79.95%), 노사갈등(75.84%), 정규직과 비정규직 갈등(73.43%) 순이었습니다. 사회갈등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래 삶의 불확실성 심화'(25.65%)와 '사회계층 간 이동성 단절'(23.22%)을 많이 꼽았습니다. 또 '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책임 부족'(17.09%), '미디어(SNS)의 발달로 인한 가짜뉴스 전파'(10.79%), '혐오와 차별의 정서 확산'(10.14%), '상호 간의 신뢰 부족'(8.54%), '이기적 집단주의의 팽배'(4.58%) 등을 사회갈등을 초래하는 이유로 들었다. 응답자들은 사회갈등의 해결 주체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56.01%), 국회 및 정당(22.04%), 국민 개개인(9.16%), 언론계(4.45%), 시민사회단체(3.34%), 기업(3.05%), 교육계(1.00%), 종교계(0.96%) 등의 순으로 꼽았습니다. 특히 사회갈등을 해결하려면 공정하고 투명한 법 집행(22.31%)과 사회지도층의 솔선수범(21.81%), 촘촘한 사회안전망 강화(15.44%), 계층이동의 사다리 마련(15.04%), 혐오 차별 인식개선 교육 및 캠페인 강화(13.60%),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활용 교육 실시(8.75%), 갈등 중재 시스템 마련(3.06%)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기관·단체 신뢰도는 해결 주체 1위로 꼽힌 행정부(대통령실, 중앙정부, 지방 자치정부 등)는 41.9%로 절반에 못 미쳤고, 2위인 입법부(국회)도 22.6%로 아주 낮았습니다. 연구진은'사회갈등을 완화하려면 갈등 당사자와 이해관계자, 시민이 사회갈등을 조정하고 관리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내부통제와 청렴 문화 확산을 통해 정부 신뢰 수준을 높이고 정치 성향이 다른 사회 구성원 간의 갈등과 대립, 긴장과 반목을 풀어내기 위해서는 생각과 입장이 다른 사람들이 서로 어울려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다양한 소통 채널을 조성하고 활성화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사회갈등 진보 보수 정치 젠더 빈부 노사갈등 정치 성향 대화 해결 사회 안전망 이동성 미래 삶 불확실성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부산교육감 재선거, 본격화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 다수의 후보가 출마 선언하며 경쟁이 본격화되었다. 보수 진영은 후보 단일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진보 진영은 단일 후보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으로 정권교체가 설 민심의 큰 흐름”…대세론 띄운 민주당민주 김민석 간담회 李 지지율 1위 유지 자신감 “진보·중도층서 확실한 우위” 與 ‘李 때리기’ 올인 날세워 “파시즘과 보수층 결합 조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산교육감 재선거, 보수·진보 모두 단일화 진통부산시교육감 재선거를 둘러싸고, 보수·진보 모두 단일화 과정에서 진통을 겪고 있다. 진보 쪽은 예비후보 한 명이 불참 의사를 밝혔고, 두 단체가 통합추진위를 꾸린 보수 쪽은 내부에 이견이 제기돼 일정을 연기했다. 동상이몽 속 각자도생? 분열 우려 목소리 보수로 분류되는 전영근 부산교육감 예비후보는 4일 부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산교육감 재선거, 보수 단일화 vs 진보 2명부산시교육감 재선거전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보수 진영에서는 단일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한민국, 1987년 정치 체제 한계에 놓여 진보·보수 사로잡혀 분열, 위기 걷어내기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은 한국이 1987년 정치 체제 한계에 놓여 안보, 경제, 사회 분야의 심각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어려움을 지적하며 우리나라가 곧 끓고 있는 냄비 속의 개구리처럼 위기 상황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지학의 세상다양] 극단의 시대, 서로를 느낄 수 있다면장원영과 이희준의 ‘서로 배움’ 가능성에서 발견하는 사회갈등 해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