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인구위기 대응 종합대책 발표 출산지원금 해마다 올라도 효과는 제한적 인접 지자체 ‘인구빼가기’ 현상만 반복돼
지자체가 인구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출산정책에 막대한 현금을 지원하고 있으나, 투입되는 예산에 비해 정책 효과가 미미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지자체 출산정책에 현금 지원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일시적인데다 현금 지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주변 지자체의 인구가 감소해 일종의 ‘제로섬 게임’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경남도가 발표한 경남 18개 시군의 현금성 인구정책 재정 지출추이를 보면 지난 2014년 176억여원에서 2024년 현재 330억원으로 두 배나 늘었다. 그러나 경남 합계출산율은 같은해 1.41명에서 지난 2023년 0.8명으로 크게 줄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한 전국 지자체의 출산·양육지원금 지출추이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오고 있다. 지난 2014년 광역기초를 포함해 2037억원에서 지난 2022년 5734억원으로 두배 이상 늘었다. 반면 전국 합계출산율 추이는 1.205명에서 2022년 0.778명으로 크게 줄었다. 현금성 지원이 출산율에 효과가 없다는 얘기다.경남지역 A지자체의 경우 첫째아 50만원, 둘째아 70만원, 셋째아 500만원의 현금을 지원해오다 지난 2019년 첫째아 100만원 둘째아 300만원 셋째아 1000만원으로 크게 높였다. 당시 A지자체의 합계출산율은 전년도 0.84명에서 1.11명으로 늘었다. 그러나 같은해 바로 옆에 위치한 B지자체는 A지자체 현금지원의 영향을 받아 합계출산율이 전년 1.08명에서 1.00명으로 줄었다.
이후 B지자체는 지난해 첫째아부터 셋째아까지 동일하게 500만원으로 지원금을 높였다. 그러자 B지자체의 합계출산율은 전년 0.8명에서 1.02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반면 A지자체는 0.64명으로 역대 최저 출산율을 기록했다. 인접한 지자체간 출산지원금을 통한 ‘제로섬 게임’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경남도는 단기적으로 지원기준 상한제를 도입키로 했다. 현행 최대지원 시군의 금액을 상한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전입, 결혼, 출산, 양육 등 현금지원 대상이 모두 포함된다. 또 중장기적으로 신혼부부 공제사업 등을 시행한다.윤인국 경남도 교육청년국장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는 현금지원은 물론 금융·세제혜택 등의 지원기준을 마련해 시행하고 지자체는 출산돌봄 인프라 구축 등 사각지대 해소 형태로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딜로이트 안진, 일본계 기업을 위한 한국 개정세법 대응 세미나 개최세액공제부터 금융계좌 신고까지 일본계 기업 관리 방안 가이드 제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야한 사진·몸캠 수두룩…성매매 온상이 된 ‘제2의 텔레그램’ 어디길래텔레그램 단속 강화 풍선효과 각종 불법 영상물 라인에 올려 라인 “신고 접수땐 계정 삭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7만원짜리 산호 향수는 어떤 향?” ‘레 제썽스 드 딥티크’ 성수 팝업 열어딥티크 고가 향수 라인 출시 자개·나무껍질 등 창의적 향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라가 밀어주는 사업이라더니”…정부 공모 민간임대주택도 인허가 ‘하세월’국토부, 통합심의 의무화하고 시·도 협의회 잇따라 개최해도 지자체 “획기적 단축 어렵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린벨트 해제 후 입주에 7~9년 걸렸다문진석 의원실, 국토부 자료8·8대책 그린벨트 해제로는6년內 8만채 공급 어려울듯전문가 '지자체·환경론자 설득행정절차 단축할 로드맵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언론 “한국드라마 덕분이다”...쇼군 美에미상 18관왕 최대 비결 꼽아“‘오징어 게임’으로 자막 저항감 줄어” 주연배우 “일본어 70% 사용은 도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