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불법사금융 피해신고 급증…채권추심 4년만에 5배로

대한민국 뉴스 뉴스

지난해 불법사금융 피해신고 급증…채권추심 4년만에 5배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1%

(서울=연합뉴스) 이율 기자=지난해 10월까지 불법 사금융 피해 상담·신고 건수가 최근 5년새 가장 많은 수준으로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급전이 필요한 취약계층에 최대 100만원을 당일 빌려주는 소액생계비대출의 연체율은 11.7%로 집계됐다. 사진은 17일 서울 명동거리에 붙은 대출 광고물. 2024.3.17 dwise@yna.co.kr추심방식이 악랄해지면서 채권추심과 관련한 피해상담 건수는 4년만에 5배 수준으로 폭증했다.

지난해 10월까지 세부 피해 유형을 보면 미등록 불법 대부업체 관련이 5천604건으로 가장 많았고, 채권추심 2천429건, 고금리 1천868건, 불법광고 1천390건, 불법 수수료 584건, 유사수신 523건 등으로 뒤를 이었다.채권추심 피해상담·신고 건수는 같은 기간 기준 2020년 479건, 2021년 746건, 2022년 892건, 2023년 1천621건, 2024년 2천429건 등으로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4년만에 5배로 폭증한 셈이다. 피해·상담신고 건수는 급증하고 있지만, 금감원의 수사 의뢰 건수는 지난해 10월까지 358건으로, 2021년 같은 기간 531건, 2022년 389건, 2023년 455건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 악화로 서민과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고조되면서 생계형 자금 수요가 지속되고 있지만, 대부업체를 비롯한 제도권 금융의 대출 문턱은 높아지면서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이들은 늘어나고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전북 119 신고 55.6초마다 울렸다···“이송병원 선정지원 급증”지난해 전북 119 신고 55.6초마다 울렸다···“이송병원 선정지원 급증”2024년 전북소방본부 119 신고 전화가 55.6초에 한 번꼴로 울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료계 집단행동이 장기화하면서 병·의원과 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사기 얼마나 많았으면”…세입자 ‘경매 셀프낙찰’ 10년래 최다“전세사기 얼마나 많았으면”…세입자 ‘경매 셀프낙찰’ 10년래 최다올해 수도권에서만 878건 전세사기 사태 이후 급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넘어 1,500만명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넘어 1,500만명트럼프 당선인 효과로 가상자산 시장이 활성화, 투자자 수 급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이 꽂힌 이것 ··· 야외광고비 3년새 45% 늘려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이 꽂힌 이것 ··· 야외광고비 3년새 45% 늘려뉴욕·샌프란시스코·런던 등지서 기술 기반 금융 서비스 광고 급증 인지도 상승 통한 고객 확보 기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8년 만에 최고치…독감 환자 급증, 설 연휴 중환자 급증 우려8년 만에 최고치…독감 환자 급증, 설 연휴 중환자 급증 우려국내 인플루엔자 환자 수가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다수의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에 유행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1~2주 내 독감 유행은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설 연휴 이후 중환자가 급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난해 고용동향, 청년취업자 14.4만명 감소…'쉬었음' 인구 급증지난해 고용동향, 청년취업자 14.4만명 감소…'쉬었음' 인구 급증지난해 국내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5만 9천명 증가하여 2023년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20세~30세 '쉬었음' 인구 증가와 청년층 취업자 감소가 눈에 띄었습니다. 건설, 도소매 등 내수 위주 일자리 충격이 컸으며, 12월엔 취업자 수가 46개월 만에 감소하는 등 정치 불안으로 인한 소비 감소가 고용 불안을 야기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4 08: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