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용동향, 청년취업자 14.4만명 감소…'쉬었음' 인구 급증

경제 뉴스

지난해 고용동향, 청년취업자 14.4만명 감소…'쉬었음' 인구 급증
고용청년취업쉬었음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55 sec. here
  • 7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2%
  • Publisher: 51%

지난해 국내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5만 9천명 증가하여 2023년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20세~30세 '쉬었음' 인구 증가와 청년층 취업자 감소가 눈에 띄었습니다. 건설, 도소매 등 내수 위주 일자리 충격이 컸으며, 12월엔 취업자 수가 46개월 만에 감소하는 등 정치 불안으로 인한 소비 감소가 고용 불안을 야기했습니다.

취업자수 46개월만에 첫 감소 지난해 취업자 증가폭이 2023년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 미쳤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덮쳤던 2020년 이후 최악의 성적표다. 정부가 불과 보름 전에 전망한 수치보다도 1만명 이상 적었다. 건설, 도소매 등 내수 위주로 일자리 충격이 컸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취업자 수는 2857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15만9000명 증가했다. 2023년 취업자 증가폭은 32만7000명이었다. 정부는 지난해 초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할 때 이를 17만명으로 전망한 바 있다. 정부 전망이 크게 빗나간 셈이다.건설, 소비 등 내수 부진이 일자리에 큰 충격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도매·소매업 취업자는 6만1000명 감소했다. 사업시설관리와 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 취업자도 5만2000명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 수도 4만9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중 지속된 내수 침체는 특히 비상계엄과 탄핵 등 정치 불확실성이 커진 12월에 고용한파를 불러왔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만2000명 감소했다. 2021년 2월 이후 46개월 만에 처음이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7만1000명 증가했는데, 이 역시 46개월 만에 최대치다. 실업률도 지난해 11월에는 2.7%였지만 12월에는 3.7%로 한 달 만에 1%포인트 급등했다. 정치 불안으로 연말 소비심리가 크게 꺾인 탓으로 보인다.작년 고용동향에서는 청년층과 고령층 간 일자리 양극화가 뚜렷했다. 15~29세 취업자는 전년과 비교해 14만4000명 줄었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6만6000명 증가했다. 고령층 인구 증가 효과도 있지만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20·30대 '쉬었음' 인구 증가도 눈길을 끈다. 쉬었음은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질병 등의 이유 없이 그냥 쉬고 있는 사람들이다. 지난해 20대와 30대 쉬었음 인구는 각각 1만8000명, 2만9000명 늘었다.

올해도 고용시장 한파는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우선 경기 전망이 어둡다. 정부는 올해 성장률 전망을 1.8%로 제시했다. 작년 성장률 전망치가 2.1%인데 이보다 낮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제시한 취업자 수 증가폭은 12만명이다. 작년 증가폭보다 3만9000명 적다. 정부는 이마저도 자신하지 못하는 눈치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고용 청년취업 쉬었음 경기침체 정치불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30세대 '쉬었음' 인구 증가, 청년 고립 문제 심화2030세대 '쉬었음' 인구 증가, 청년 고립 문제 심화2030세대 '쉬었음' 인구 증가와 청년 고립 문제 심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4년 고용동향: 내수 부진에 취업자리 감소, 청년층 취업 악화통계청은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취업자 수 증가폭이 예상보다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내수 부진으로 건설, 도소매 등에서 일자리 충격이 컸으며, 정치 불확실성 증가로 12월 고용한파가 발생했다. 특히 청년층과 고령층 간 일자리 양극화가 뚜렷했고, 20·30대 '쉬었음' 인구 또한 증가하는 등 고용 시장의 악화가 우려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산율 감소, 가계 지출 최후의 보루 교육비마저 무너트렸다출산율 감소, 가계 지출 최후의 보루 교육비마저 무너트렸다올해 국내 소비 지난해 대비 4% 감소 교육은 6% 줄어…출산율 감소 여파 교육비 내 비중 큰 어린이집 소비 급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혼자 비율 5배 증가, 결혼 긍정 인식 감소미혼자 비율 5배 증가, 결혼 긍정 인식 감소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24' 발간. 40대 미혼자 비율 급증, 결혼 인식 감소, 젠더 갈등 심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 수출 지도, 중국 몰락과 대만 상승반도체 수출 지도, 중국 몰락과 대만 상승미·중 무역 분쟁과 AI 혁명으로 중국 반도체 수출 비중 감소. 대만이 급증, 베트남도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빈집 급증, 지역 경제 침체와 지방 소멸 속도 가속화빈집 급증, 지역 경제 침체와 지방 소멸 속도 가속화전국에 빈집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인구 감소, 고령화, 수도권 집중화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문제로, 지역 경제 침체와 지방 소멸을 가속화시킬 위험이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7 12:4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