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에서 판매하는 기존 건기식 한 달 분은 평균 2~3만원대인 반면, 다이소에서는 균일가 정책에 따라 3000~5000원에 성분이 비슷한 건기식을 구매할 수 있다. 약사 커뮤니티에는 '제약사가 약국을 엿먹였다', '5000원짜리 약 먹고 싶은 분은 다이소로 가면 되고 약사가 추천하는 제품 먹고 싶은 분은 약국으로 오시면 된다', '다이소에서 파는 3000원짜리 저가 하류 제약사가 되겠다는데 협조해 주겠다' 등 글이 올라왔다. 약사들의 반응과 달리 다이소의 건기식 판매는 약국보다 e커머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근 화장품 판매로 ‘품절 대란’을 일으킨 생활용품점 다이소 가 건강기능식품 판매에 나섰다. 소비자와 약사들의 반응이 엇갈리는 가운데,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이소는 지난 24일부터 전국 200개 매장에서 영양제 등 건기식 판매를 시작했다. 다이소에 입점한 제약사는 대웅제약, 종근당건강, 일양약품 등 세 곳이다. 이들은 종합비타민 미네랄, 비타민B, 밀크씨슬, 루테인, 칼슘·마그네슘·비타민D, 오메가3, 락토핏 골드, 비타민C 등의 제품을 다이소에 공급했다.약국에서 판매하는 기존 건기식 한 달 분은 평균 2~3만원대인 반면, 다이소에서는 균일가 정책에 따라 3000~5000원에 성분이 비슷한 건기식을 구매할 수 있다. 또 3~6개월분 단위로 판매되는 약국 판매용 건기식과 달리 다이소에선 1개월분 소포장 형태로 판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5000원에 30알이면 정말 저렴하다” “그동안 좋다는 건기식도 가격 부풀림이 심했던 것 같다” “화장품에 이어 이젠 건강기능식품까지 대단하다” 등의 반응이 나오고 있다. 기존 제품과의 성분·함량 차이가 궁금하다는 소비자도 다수다. 그러나 약사들의 반응은 차갑다. 약사 커뮤니티에는 “제약사가 약국을 엿먹였다”, “5000원짜리 약 먹고 싶은 분은 다이소로 가면 되고 약사가 추천하는 제품 먹고 싶은 분은 약국으로 오시면 된다”, “다이소에서 파는 3000원짜리 저가 하류 제약사가 되겠다는데 협조해 주겠다” 등 글이 올라왔다.약사들의 반응과 달리 다이소의 건기식 판매는 약국보다 e커머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해외직구를 통해 검기식을 구매하거나 홈쇼핑에서 사는 소비자가 많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3천원 영양제? 이건 못 참지”…다이소 신제품에 약사들 부글부글, 무슨 일3천원~5천원 건기식 본격 판매 성분 비슷, 약국보다 훨씬 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식]최고가 1만원으로 인상?···다이소 “사실무근, 절대 아니다”경기 불황 속에서 1,000원에서 5,000원 사이의 균일가 판매 정책으로 고수하며 급성장 중이던 생활용품 전문점 다이소. 다이소가 제품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료배송 걸고 한참 밑에 배송비 3000원…소비자 낚는 ‘다크패턴’ 잡는다는데공정위, 14일부터 다크패턴 마케팅 규제 강화 정기결제 무료→유료 전환땐 앞으론 30일 전에 동의받아야 서비스 탈퇴 까다롭게 하거나 진짜 가격 숨기는 꼼수도 규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명품 매장 바로 옆에 다이소가?…기묘한 동거 알고보니이커머스에 맞서는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이 다이소 모시기에 나서며 약점을 보완하는 가운데 다이소는 매출 5조 클럽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다. 이마트의 경우 전국 150여 개 점포(트레이더스 포함) 가운데 다이소가 입점한 곳은 26개(약 17%) 그치지만 이마트 의왕점, 스타필드마켓 죽전 등에 초대형 다이소 매장을 여는 등 규모로 승부하고 있다. 부산 프리미엄 아울렛 관계자는 '다이소 입점을 통해 아울렛을 찾는 가족 단위 고객 등 남녀노소 누구나 만족할 수 있는 브랜드 라인업을 구축했다'며 '일상 속에서 편하게 방문해 다양한 아이템과 가성비 쇼핑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상재의 시선] 다이소만 잘된다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추경은 빠를수록 좋고, 전 국민 지원보다는 자영업자 타깃이 맞다'고 했다. 2021년 초 아이돌 문화를 좋아하는 매장 담당자가 OPP 포장지와 바인더 등으로 매대를 꾸미다가 아이돌 포토카드와 서로 규격이 비슷한 걸 발견했다. 이듬해 봄 다이소는 탑로더(플라스틱 케이스), 슬리브(보관용 OPP 비닐 ), 포토카드 등으로 구성된 폴꾸 용품을 내놓았다. - 이상재의 시선,다이소,다이소 상품,다이소 매장,내수,자영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페이스샵, 에뛰드… 뷰티로드숍, 다이소 쇼핑몰에 몰려든다1세대 뷰티로드숍인 더페이스샵과 에뛰드가 다이소에 입점하며 가성비 혁신을 선도한다. 2000년대 전성기를 누린 뷰티 브랜드들이 다이소에 진출하면서 경쟁 치열해지는 뷰티 시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