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저가 밀어내기 공세에 국내 기업 10곳 중 7곳꼴로 매출·수주에 영향을 받았거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내 완제품 재고 물량이 다시 증가세를 ...
중국의 저가 밀어내기 공세에 국내 기업 10곳 중 7곳꼴로 매출·수주에 영향을 받았거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내 완제품 재고 물량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중국산 저가 공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 222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27.6%가 중국 제품의 저가 수출로 ‘실제 매출·수주 등에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현재까지는 영향이 없으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42.1%였다. 중국 기업의 저가 공세에 따른 피해는 국내 내수시장보다 해외 수출시장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답한 수출기업은 37.6%로 내수기업을 크게 앞섰다. 업종별로도 명암이 엇갈렸다. ‘이미 경영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중을 살펴보면 배터리 기업이 가장 높았다. 섬유·의류, 화장품, 철강금속 등도 피해를 호소했다. 주요 피해는 ‘판매단가 하락’, ‘내수시장 거래 감소’ 등이었다.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완제품 재고율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소비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2020년 10월 6.94%에서 2022년 4월 20.11%로 급상승했다. 이후 중국 기업이 과잉 생산된 재고를 해외에 저가로 수출하면서 재고율은 2023년 11월 1.68%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중국의 경기 부진이 계속되면서 재고율은 지난 6월 4.67%로 다시 높아졌다.최근 5년간 중국 경쟁 기업과의 기술력 및 품질경쟁력 차이를 묻는 질문에 26.2%만이 ‘계속 우위에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우위에 있으나 기술격차가 축소됐다’는 응답은 47.3%로 2배 가까이 많았다.
현재 중국 기업보다 기술력이 우위에 있거나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향후 중국 기업의 추월 시점 전망을 물어본 결과, ‘4~5년 이내’라고 응답한 기업이 39.5%로 가장 많았다. ‘2~3년 이내’를 꼽은 기업은 28.7%였다. ‘1년 이내’라고 응답한 기업까지 합하면 응답 기업의 73.3%가 “5년 이내에 중국 기업이 기술력에서도 국내 기업을 앞설 것”으로 예상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우리 기업이 해외수입품에 대해 신청한 반덤핑 제소 건수가 통상 연간 5~8건인 데 비해 올해는 상반기에만 6건이 신청됐다”며 “글로벌 통상 분쟁이 갈수록 확대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기조도 달라져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내 제조업 70% ''中 저가 공세' 피해 영향권'…배터리 이중고(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중국의 저가 밀어내기 공세로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이 매출이나 수주에 영향을 받았거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野도 10년 하겠다는데…'K칩스법' 3년 연장기재부 올해 세법 개정안정부 반도체 투자 세제 지원여야 추진안보다 크게 미흡투자세액공제 3%서 10%로고용 늘리면 기업 세금 감면해외서 국내 복귀 '유턴기업'소득·법인세 감면 3년 연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기 정점 치달은 카카오…김범수 구속에 '쇄신' 타격 우려(서울=연합뉴스) 최현석 노재현 기자=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 카카오[035720]가 창업자 김범수 CA협의체 공동의장 겸 경영쇄신위원장의 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난해 삼성전자 경제기여액 147조원···현대차 111조원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의 경제기여액이 1500조원을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자동차는 100대 기업 중 유일하게 경제기여액이 전년 대비 10조원 이상 증가하며 처음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장테이프 붙인 차 도로서 목격”…알리·테무 이어 이번엔 中전기차 공습 [박민기의 월드버스]중국 전기차, 글로벌 1·3·4·5위 싹쓸이 미국·유럽, 47% ‘관세폭탄’ 부과하자 관세장벽 낮은 한국시장으로 눈돌려 비야디·지리 등 전기차 국내 출시 임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서 안되면 미국서 팔면 돼”…정의선의 승부수, 1억대 가장 빨랐다판매량 24% 차지하던 중국 사드 보복·코로나에 판매 뚝 정의선 ‘권역별 책임제’ 특명 저가 모델 팔던 미국시장 제네시스·SUV로 고급화 국내 이어 2위 시장 떠올라 58년만에 1억대, 도요타 제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